뉴욕 법무장관실은 암호화폐 교환은 투명성을 최우선으로 해야 할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뉴욕 법무장관실은 17일 화요일 13개 암호화폐 교환 기업들의 거래 플랫폼 운영과 관련된 정보에 대해 “의심스러운 거래 및 시장 조작, 봇의 운영에 대한 정책 등에 대해서 자신들의 노력을 설명하도록 요청했다”고 밝혔다.
뉴욕 법무장관실은 각 요청에 34개의 설문지가 포함돼 있다. 이는 5월 1일까지 완료하도록 지시 받았다. 이번 설문지는 특정 정책 및 절차, 은행 관계, 소비자의 이익을 위해 정보를 공개적으로 접근 가능한 형식 등으로 이뤄져 있다.
에릭 슈나이더만 뉴욕 법무장관은 “기술 진보, 교환 매체 및 투자 기회를 대표하는 암호화폐는 혁신가와 기업가, 투자자를 고무시키고 있다”며 “그러나 암호화폐는 상당한 변동성, 불안정성 및 위험을 특징으로 하는 투기 영역이다”고 말했다.
이번 조사 결정은 슈나이더만의 새로운 가상화폐 시장 무결성 구상을 위한 핵심 구상으로 투자자를 보호하고 이러한 초기 금융 시장의 무결성을 보존하기 위한 조치로 해석된다.
슈나이더만은 성명서에서 “암호화폐가 증가함에 따라 뉴욕과 전국의 소비자들은 돈을 투자할 때 투명성과 책임성을 가질 권리가 있다”며 “그러나 소비자들은 거래 플랫폼의 공정성, 무결성 및 보안을 평가하는데 필요한 기본적인 사실을 가지고 있지 않다”고 밝혔다.
뉴욕은 이미 뉴욕주 금융 서비스부서(NYDFS)에서 비트라이센스(BitLicense)를 받아야 암호화폐 비즈니스를 할 수 있는 엄격한 규제 프레임을 가지고 있다. 2014년에 이 라이선스 프로세스가 도입됨에 따라 소수의 기업만이 비트라이센스를 취득할 수 있게 됐다.
뉴욕 법무장관실의 조사에 따라 비트코인 시장도 하락세로 돌아섰다. 주력 암호화폐는 조사 이전에 8000달러 이상으로 거래되고 있었다. 그러나 화요일 뉴욕 법무장관실의 조사가 이뤄졌다는 소식이 알려지자 분당 8090달러를 유지하던 비트코인은 7855달러로 급격히 떨어졌다.
이번 조사로 인한 결과가 어떻게 될지 시장은 뉴욕 법무장관실을 주시하고 있다. 현재까지는 어떤 조치가 이뤄질지 알 수 없는 상태다. 하지만 에릭 슈나이더만이 행동주의자로서 명성을 얻었다는 점을 비춰본다면 새로운 조치가 이어질 수 있다는 예측이 이어지고 있다.
시장도 선제적인 조치를 취하기 위한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뉴욕에 본사를 둔 암호화폐 거래소지미니(Gemini)를 공동 설립한 카메론(Cameron)과 테일러 위크에보스(Tyler Winklevoss)는 “국가 수준에서 주로 규제되고 있는 초기 산업을 위한 모범 사례를 관리해야 한다”며 국가 자체 규제 기관을 만들 것을 제안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