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 변이가 세계 곳곳에서 발견되고 있는 가운데 재확산 공포가 높아지고 있다.영국에서 발견된 코로나19 변이 바이러스는 앞서 기존보다 전염 속도가 빠른 것으로 알려졌다. 이어 최근 연구에서 치명률도 기존 바이러스보다 높은 것으로 나와 우려를 높이고 있다.   신규 호흡기 바이러스 위협 자문그룹 소속 과학자들은 기존 바이러스와 변이 바이러스의 확진자와 사망자 비율을 비교한 결과 변이 바이러스가 기존 대비 30% 더 많은 사망자를 초래할 수도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BBC 등 외신은 지난 22일 보도했다. 영국 정부 최고과학자문관인 패트릭 발란스는 기존 바이러스의 경우 60세 코로나19 환자 1000명 중 10명 가량이 사망한 데 반해 변이 바이러스는 사망자 수가 13명 정도로 증가했다고 밝혔다. 그러나 치명률 증가가 아직 명확하게 입증된 것은 아니기 때문에 추가 연구가 필요하다고 연구진은 설명했다. 앞서 영국 정부는 지난달 수도 런던과 잉글랜드 남동부에서 바이러스가 급격히 확산한 이유가 변이 바이러스의 빠른 전파력 때문일 수도 있다고 밝혔다. 다만 다행히 화이자와 아스트라제네카 등 기존 코로나19 백신은 영국발 변이 바이러스에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보인다고 발란스 자문관은 설명했다. 그러나 일부 변이 바이러스에는 백신이 효과를 내지 못할 수 있다는 전문가들의 우려가 커지고 있다. 백신을 접종해도 남아프리카 공화국 변이 바이러스에 재감염될 위험이 크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기 때문이다. 남아공 국립전염벼연구소와 현지 대학 연구진은 코로나19 완치자 44명의 혈청에 남아공 변이 바이러스를 노출하는 실험을 진행헀으며 이 결과 샘플 중 절반이 완전히 무력화 했고 나머지 절반은 항체 반응이 약해진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고 로이터 등 외신이 지난 20일 전했다. 연구결과에 따르면 백신을 접종했거나 코로나19에 감염돼 하체를 갖고 있어도 변이 바이러스에 또 다시 감염될 수 있다는 것이다. 코로나19 백신은 바이러스 내 스파이크 단백질을 겨냥해 면역 효과를 만들었다. 그러나 남아공 변이 바이러스는 스파이크 단백질을 변형시키기 때문에 백신의 효과를 줄일 수 있다는 점이다. 다만 이 연구 결과는 아직 동료 검토를 거치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 실제로 기존 바이러스보다 전염력이 50% 높은 남아공 변이 바이러스는 현지에서 재확산을 일으킨 주 요인으로 꼽히고 있다. 이달 초 남아공의 하루 신규 감염자는 1차 확산 당시를 크게 웃도는 2만1천명에 달했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댓글0
로그인후 이용가능합니다.
0/150
등록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이름 *
비밀번호 *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복구할 수 없습니다을 통해
삭제하시겠습니까?
비밀번호 *
  • 추천순
  • 최신순
  • 과거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