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보건기구가 코로나19 팬데믹을 선언한 지 불과 10개월 만에 전 세계 수천만 명이 백신 접종을 받았다. 매우 짧은 시간 안에 이룬 성과지만 사실상 코로나19 백신 개발 역사는 수십년 전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코로나바이러스가 처음 발견된 건 1930년 4월이다. 미국 노스다코타 주와 미네소타 주의 양계장들에서 호흡기 질환 증상을 보이는 닭이 발견됐다. 당시 수만 마리의 병아리가 죽었다. 수의사는 이를 병아리 전염성 기관지염이라고 불렀다. 이후 전염성 기관지염 바이러스로 불린 이 질병을 과학자가 연구하기 시작했다. 이를 통해 인플루엔자 A형과는 다르다는 점을 알게 됐다. 그리고 1968년 11월에는 국제학술지 네이처에 이 질환을 일으키는 바이러스가 1947년 발견된 쥐 간염 바이러스와 비슷하다는 내용이 게시됐다. 쥐 감염 바이러스는 코로나 바이러스로 분류됐다. 그런데 이보다 앞서 나타난 병아리 감염병도 코로나 바이러스에 기인한다는 점을 알게 됐다. 이처럼 코로나바이러스는 동물에게 치명적인 질병으로 알려졌다. 사람에게 감염을 일으키는 코로나바이러스도 발견되긴 했지만 흔한 감기 증상을 일으키는데 그쳐 위협적이지 않은 존재로 여겨왔다. 이 같은 생각이 뒤집힌 건 2002년이다. 중국 광둥성에서 새로운 호흡기 질환이 출현했다. 이로 인해 전 세계 8098명이 감염됐고 774명이 사망하기도 했다. 한 달이 안되는 짧은 시간 동안 연구자들은 새로운 바이러스의 게놈을 해독했다. 이를 중증 급성 호흡기 증후군, 사스라고 명명했다. 사스는 코로나 바이러스가 인간에게 치명적일 수 있다는 사실을 인지시켰다. 환자 격리 조치 등으로 2003년 7월 WHO는 공식적으로 사스 유행이 종식됐다고 선언했다. 하지만 이후 계절적 요인 등으로 사스가 다시 유행할 것을 우려해 백신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제기됐다. 이때 백신의 타깃은 바이러스의 스파이크 단백질 부위가 돼야 한다는 점도 언급됐다. 그보다 앞선 1991년에도 코로나바이러스로 인해 백신 타깃으로 스파이크 단백질이 고려된 바 있다. 이로 인해 스파이크 단백질을 타깃으로 한 여러 백신이 설계됐다. 동물실험이 진행되면서 해당 백신이 사스는 물론 2012년 등장한 중동 호흡기 증후군인 메르스에 대해서도 효과가 있을 것이라는 점이 확인돼 왔다. 문제는 연구를 지속하기 위한 자금이 부족했다. 메르스는 치사율이 매우 높았지만 감염자 수가 많지 않았다. 사스와 메르스 둘 다 감염자 수와 사망자 수가 팬데믹에 이를 정도로 많지 않았기 때문에 적극적인 연구 지원이 이뤄지지 않았다. 하지만 반대로 코로나19는 다양한 연구 지원이 이뤄졌다. 또한 바이오아카이브를 통해 코로나19 염기서열을 공유하는 등의 행위를 진행했다. 그만큼 전세계적인 개발이 됐기 때문에 백신 개발이 가능했다.   그러나 감기는 돌연변이를 일으킨다는 점에서 이를 확실하게 진행한다는 게 쉽지 않은 일이다. 그런만큼 백신타깃을 찾기 쉬울 수 있는 코로나19가 상대적으로 개발하기 쉬웠다는 게 전문가의 전언이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댓글0
로그인후 이용가능합니다.
0/150
등록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이름 *
비밀번호 *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복구할 수 없습니다을 통해
삭제하시겠습니까?
비밀번호 *
  • 추천순
  • 최신순
  • 과거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