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 방역에서 들어맞는 속담은 친구따라 강남간다가 아닐까 싶다. 가족, 친구들과 지인 등 주변 사람이 코로나 예방수칙을 철저히 준수하는 경우 자신 역시 그 영향을 받아 지킬 가능성이 높다는 연구 결과가 발표됐다.
영국 노팅엄 대학 주도로 프랑스 독일 미국 등의 인간 행동 전문가들이 협력해 수행한 연구에 의하면 정부의 방역정책 준수는 개인의 결심보다 친구들의 행동에 더 크게 좌우됐다.
이 연구를 이끈 노팅엄대 심리학과 바하르 튜네겐치 박사는 “코로나바이러스가 지난해 3월 영국을 처음 강타했을 때 유럽과 아시아가 팬데믹에 얼마나 다르게 반응하는지 놀랐다”며 “위기 상황에서 국민 참여를 이끌어내는 가장 효과적 방법을 알기 위해 글로벌 연구를 시작했다”고 말했다.
서구 국가들은 개개인의 올바른 선택을 강조한 반면, 싱가포르 중국 한국 등은 집단을 하나의 단위로 보고 초점을 맞췄다. 결과적으로 후자의 전략이 피해를 줄일 수 있었다.
‘영국 심리학 저널’에 발표된 이번 연구는 팬데믹을 둘러싼 정책적 대응의 맹점을 조명한다. 코로나록다운의 연장 등 정책 변화를 결정할 때 인간과 사회적 행동에 대한 전문가도 참여시키는 것이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연구팀은 코로나 확산방지에 소셜 네트워크가 수해할 수 있는 역할을 조사했다. 100여 개국 사람들에게 그들 그리고 그들과 가까운 사람들이 지역에서 현재 시행 중인 방역수칙을 얼마나 잘 준수하는 지 물었다.
그 결과 방역지침을 가장 충실하게 준수하는 사람은 친구들과 가족이 방역수칙을 철저히 따르는 사람들이었다. 팬데믹에 관련해 스스로의 확신이나 결심보다 가까운 사람들의 영향력이 더 크게 작동한다는 분석이다. 이러한 조사결과는 모든 연령대와 성별, 국가에 두루 적용됐다.
이 연구에 참여한 독일 뮌헨의 루드비히 막시밀리안 대학 심리 및 신경과학 오필리아 데로이 교수는 “공공 정책이 잘못된 방향으로 가고 있다’고 밝혔다.
과학자들과 정치인들이 예방접종 캠페인, 록다운, 사회적 거리두기 등 정책을 펼칠 때 대중적 지지를 얻는데만 신경을 쓴다. 하지만 시민들이 이런 정책을 승인하는 것과 준수하는 것은 별개로 나타났다. 실제 행동은 친한 사람들이 어떻게 행동하는지를 보고 그대로 따라했다.
앞으로도 이어질 코로나 관련 정책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인간 행동 연구는 여러 시사점을 던져준다고 강조한다. 구체적 예를 들면 가까운 친구가 백신접종에 등록했는지 알려주는 소셜 기반 운동 앱과 유사한 소셜 앱을 만드는 등 다양한 방법을 생각해야 한다.
투네겐치 박사의 결론은 “정책 입안자에게 보내는 우리의 메시지는 ‘사회적 거리두기’의 실천이 목표라고 해도 결국 ‘사회적 친밀감’이 해결책이라는 것이다”고 내렸다.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