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로 인한 우울증인 코로나 블루에 이어 코로나 레드라는 새로운 단어가 만들어졌다. 이는 단순한 문화적 현상이 아니라 건강에 위협을 받고 있다는 뜻으로 해석된다. 이제 마스크를 쓰는 일은 당연한 일이 됐다. 공공장소에 가면 열체크를 하고 손소독제를 사용하고 있다. 재택근무와 온라인 수업은 일상이 됐으며 모임보다는 혼자 즐기는 휴식시간을 갖는 일이 많아졌다. 사회적 거리두기로 인한 소비 패턴의 변화로 경제적인 어려움을 호소하는 자영업자도 부쩍 늘었다. 이로 인해 코로나19로 인한 우울증을 칭하는 코로나 블루 라는 용어가 새로 생겼다. 하지만 코로나19 사태가 끝날 기미를 보이지 않고 겨울 이후 계절적 요인의 영향으로 더욱 악화되는 양상을 보이고 있다. 이로 인해 우울을 넘어 분노하는 상황에 이르렀다. 이를 칭해 코로나 레드 혹은 코로나 블랙이라는 신조어가 생기고 있다. 전문가는 코로나와 연관된 정신건강의학적 문제들은 사회, 경제적 어려움, 사회적 단절에 대한 외로움 등이 큰 영향을 미친다고 분석한다. 따라서 일상생활의 리듬을 잘 유지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밝혔다. 규칙적인 수면 및 기상 시간 등을 통해 정상적인 생활 리듬을 유지해야 한다는 것이다. 정신적인 스트레스는 몸을 움직일 때 줄어든다는 점에서 신체 활동량을 늘려야 한다는 점도 강조했다. 우울감이나 무기력감, 불안감 등에서 벗어나려면 방역 지침을 준수하면서 간단한 실내 스트레칭 또는 걷기 운동 등을 하라는 설명이다. 또한 자극적인 정보나 부정확한 정보와는 거리를 두는 것이 정신적 피로도를 낮추는 방법이다. 음악이나 목욕, 명상 등도 도움이 된다. 가족과 함께 할 수 있는 활동을 찾고 직접 대면하진 못하더라도 지인들과 전화, 인터넷 등으로 소통을 유지하는 것 역시 중요하다. 단 이 같은 방법으로 해결되지 않을 땐 전문가 도움이 필요하다. 우울증은 치료를 통해 개선될 수 있는 질환인만큼 심적으로 힘들다 느껴질 때는 무작정 참는 것보다는 전문가와의 상담을 통해 치료할 계획을 세우는 것이 좋다고 밝혔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댓글0
로그인후 이용가능합니다.
0/150
등록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이름 *
비밀번호 *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복구할 수 없습니다을 통해
삭제하시겠습니까?
비밀번호 *
  • 추천순
  • 최신순
  • 과거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