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 신규확진이 전날 524명보다 11명 줄어든 513명 발생했다. 사망자는 22명 늘어 누적 1217명을 기록했으며 위중, 중증 환자는 374명으로 나타났다. 최근 일주일간 신규 확진자는 500명 대를 나흘간 유지하고 있는 추세다. 중앙방역대책본부는 지난 15일 0시 기준으로 코로나19 신규 확진자가 513명 늘어 누적 7만1241명이라고 밝혔다. 국내 지역발생이 484명, 해외유입이 29명으로 나타났다.  수도권은 국내발생이 325명으로 경기 180명, 서울 122명, 인천 23명 등을 기록하고 있다. 비수도권은 159명으로 부산 45명, 경북과 경남 각 21명, 전남 14명, 강원 13명, 대구 10명, 충북 7명, 울산과 전북 각각 6명, 광주 5명, 세종 4명, 대전과 충남 각 3명, 제주 1명을 기록하고 있다. 종교시설과 요양시설에서 추가 환자가 이어졌다. 경북 상주 BTJ열방센터 관련 확진자가 누적 713명으로 증가했다. 또한 광주 광산구 요양병원에서도 모두 137명의 확진자가 나왔다. 정부의 거리두기 개선안 발표가 오는 16일로 예정된 가운데 정세균 국무총리는 지난 15일 정부 서울청사에서 주재한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회의에서 “무거운 책임감을 갖고 치열하게 고민해서 가장 지혜로운 결론을 내리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정 총리는 “고비를 지나 완만한 감소세로 접어들었지만 3차 유행 전 하루 확진자가 100명도 안 되던 것과 비교하면 여전히 위기상황”이라고 진단했다. 방역당국은 지난 달 코로나19 유행은 집단감염보다 개인 간 접촉의 비중이 크다는 데 주목하고 있다. 각종 모임 등을 통해 재확산됐다는 것이 수치로 확인됐다. 따라서 5인 이상 모임 금지 조치의 유지 여부가 관심이다. 다음 달 11일~14일 설 연휴를 앞두고 대규모 이동으로 인한 재확산 우려도 검토해야 한다는 전문가의 지적이 이어지고 있는 이유다. 한편 코로나19를 두고 함께 생존해야 한다는 지적이 이어지고 있다. 그만큼 변종 바이러스가 발견되고 있다. 지난 13일 미국 오하이오주에서는 두 종의 새로운 변이 바이러스가 발견됐다. 특히 이 중 하나는 지난 3주 동안 널리 확산된 것으로 확인됐다. 미국 백신 제조회사 모더나의 스테판 반셀 대표는 JP모건 보건의료 콘퍼런스 토론자로 참석해 “코로나 바이러스가 사라지지 않을 것”이라고 밝혔다. 그는 “코로나 바이러스와 영원히 함꼐 살아야 할 것 같다”며 바이러스와 공존해야 하는 상황이 도래할지 모른다는 예측을 내놓았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댓글0
로그인후 이용가능합니다.
0/150
등록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이름 *
비밀번호 *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복구할 수 없습니다을 통해
삭제하시겠습니까?
비밀번호 *
  • 추천순
  • 최신순
  • 과거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