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 신규확진자가 전날 562명보다 38명 줄어든 524명 발생해 사흘째 500명대를 유지했다. 사망자는 10명 늘어 누적 1195명이 됐고 위중, 중증 환자는 6명 증가해 380명이 됐다. 최근 일주일간 신규 확진자는 세 자리수로 줄어든 추이를 보이고 있다. 중앙방역대책본부는 지난 13일 0시 기준으로 코로나19 신규 확진자가 524명 늘어 누적 7만 728명이라고 밝혔다. 국내 지역발생이 496명, 해외유입이 28명으로 나타났다. 국내발생 496명 중 수도권이 317명으로 경기 162명, 서울 131명, 인천 24명 등으로 나타났다. 비수도권 국내발생은 179명으로 나타났다. 부산 40명, 광주 30명, 인천 24명, 충북 18명, 경북과 경남 각 16명, 충남 12명, 강원과 대구 각 11명, 울산 9명, 전남 6명, 대전과 전북 각 3명, 세종과 제구 각 2명 등이다. 해외 유입 확진자 28명 가운데 내국인은 19명, 외국인은 9명으로 나타났다. 11명은 공항, 항만 검역 과정에서 확인됐고 나머지 17명은 지역사회에서 격리 중 확진됐다. 여전히 요양시설, 요양병원, 종교시설 등에서 집단감염 사례가 이어진 가운데 의료기관에서도 신규확진이 계속 발생했다. 경북 상주 BTJ열방센터 관련 확진자는 누적 662명, 서울 동부구치소 관련 감염자도 모두 1214명으로 늘어났다. 광주의 중형급 병원에서 환자와 의료진 등 12명의 확진자가 발생해 병원 내 집단 감염이 우려되고 있다. 방역당국은 이 병원에서 외래 진료를 받은 환자를 대상으로 역학조사를 벌여 코로나19 진단 검사를 진행할 예정이다. 한편 중앙방역대책본부는 개인간 접촉 감염이 40%를 차지하고 있는 만큼 거리두기 생활화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를 위해 중환자 및 고위험군 집중 진료 거점 전담병원을 11곳 지정하고 운영하고 있다. 또한 교정 시설 코로나19 긴급대응팀 신설을 통해 초기 대응을 강화하고 있다. 여기에 가석방을 확대해 수용밀도를 낮출 계획이다. 이외에도 코로나19 장기화에 따라 서울시는 중증환자 전담병상 확보를 위해 병원이 아닌 별도부지에 코로나19 치료 전담 병상인 서울 재난 병원을 설치, 운영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모듈형 병상 형태로 중증환자 전담병상 48개 규모로 이뤄진다. 병시에는 일반병상 96개로 전환, 운영될 수 있다. 또한 집합금지 위반 행위에 대해서 엄정하게 대응할 방침을 밝혔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댓글0
로그인후 이용가능합니다.
0/150
등록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이름 *
비밀번호 *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복구할 수 없습니다을 통해
삭제하시겠습니까?
비밀번호 *
  • 추천순
  • 최신순
  • 과거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