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스트 백신 시대 코로나19는 앞으로 우리에게 어떤 존재가 될까. 지금까지 백신이 개발 된 이후 전 세계 2000만 명 이상이 코로나 백신 접종을 받았다. 다수의 사람은 백신 접종을 완료하게 되면 코로나19가 우리 주변을 귀찮게 맴돌지만 위협적이지 않은 감기가 될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지난 13일 국제과학저널 사이언스에 발표한 미국 에모리 대학교 연구팀의 논문은 이러한 부분을 예측하고 있다. 코로나19 바이러스는 현재 위협적이고 암울한 존재다. 사람의 면역체계는 이 병원체에 대항할 훈련이 안 돼 있기 때문에 압도되는 상황이 벌어지고 있다.  하지만 코로나19의 공격을 지속적으로 받다보면 이에 대한 우리의 대처 능력도 향상된다. 결국 코로나19에 능숙하게 대응할 수 있게 되고 이 감염병은 주기적 질병으로 남을 가능성이 높아진다. 에모리 연구팀은 코로나19 바이러스인 사스-코브-2의 운명을 예측해보기 위해 흔한 감기를 일으키는 코로나 바이러스 4가지와 또 다른 코로나 바이러스인 사스 바이러스, 메르스 바이러스를 살펴봤다. 감기를 일으키는 4가지 코로나 바이러스는 엔데믹으로 우리 주변을 맴돌고 있는데 감염 시 경미한 증상에 그치게 된다. 보통 3~5세 사이에 처음 해당 바이러스들을 접해 감기에 걸리게 된다. 반면, 2003년과 2012년 각각 등장한 사스와 메르스 바이러스는 보다 심각한 증상을 일으킨다. 하지만 전 세계적으로 널리 확산되지는 않았다. 연구팀은 해당 바이러스를 연구한 결과 사브-코브-2는 사스 혹은 메르스보다 감기를 일으키는 코로나 바이러스와 보다 유사한 형태로 남을 것으로 분석했다. 그렇다면 언제 엔데믹에 이르게 될까. 이는 바이러스의 확산 속도와 백신 접종 속도, 접종 이후 면역 강도 및 유지력에 달려있다. 연구팀은 짧게는 2~3년, 길게는 수십 년이 걸릴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결국 백신 접종 속도가 이를 좌우할 것이라는 평가다. 백신이 없었다면 엔데믹에 이르기까지 보다 많은 사람들이 위중한 상태에 이르거나 사망하는 대가를 치러야 한다. 따라서 백신은 엔데믹으로 진입하는 기간을 단축하고 더 많은 희생자가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긍정적인 기능을 한다. 결국 종식이라는 개념은 부적합하다는 분석이다. 코로나 바이러스는 앞으로 독감처럼 인류와 공존할 가능성이 크다고 보고 있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댓글0
로그인후 이용가능합니다.
0/150
등록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이름 *
비밀번호 *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복구할 수 없습니다을 통해
삭제하시겠습니까?
비밀번호 *
  • 추천순
  • 최신순
  • 과거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