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 탓에 새해 운동 계획을 세워 실행하기도 힘든 연초다. 수도권 실내체육관은 문을 열지 못하고 있고 정부의 등산 통제 탓에 북한산, 관악산 등 산들도 한적한 분위기를 맞이하고 있다.
코로나19가 사람의 건강을 간접적으로도 위협하고 있다. 특히 실내생활이 오래 되면서 노인이나 중년 이후 여성, 환자 등은 근력이 줄어드는 근육감소증에 시달릴 수 있다.
근육감소증은 2017년 세계보건기구로부터 질병코드를 부여받은 병이다. 대체로 노화에 따라서 자연스럽게 생기지만 여성은 폐경 이후 골다공증과 함께 찾아오기 십상이다. 노인이나 중연 여성이 코로나19 탓에 집콕만 하고 있으면 골감소증이 성큼성큼 다가와서 몸을 더욱 약하게 하고 노화를 촉진한다.
이밖에 입원 치료나 부상 탓에 활동량이 급격히 줄어들어도 근육감소증이 더 잘 생긴다. 자가면역질환인 다발성근염에 걸릴 경우 근육이 급격히 줄어들고 대부분의 암도 근육의 영양과 에너지를 빼앗는다.
당뇨병이나 골다공증, 골감소증, 골관절염 등을 부를 수 있다. 정신질환인 우울증도 근육감소증과 상관관계가 크다.
하버드 의대 협력기관인 브리검앤우먼스 병원 물리치료사 조디 클라인은 하버드 건강 뉴스레터를 통해 “갑자기 활동을 줄이는 것은 운전하다가 급브레이크를 밟는 것처럼 인체에 영향을 미친다”며 “사소한 근육 위축이 인체의 힘과 운동에 영향을 미쳐 활동을 더욱 힘들게 하는 악순환에 빠질 수 있다”고 밝혔다.
이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더 많이 움직여야 한다. 어떤 식으로든 움직여야 하며 움직이면 살고 누우면 죽는다는 생각으로 움직여야 한다. 가능하다면 적절한 운동에 대해서 전문가와 상의하는게 좋다.
운동은 유산소, 유연성, 근력을 병행하는게 좋다. 근력운동의 경우 덤벨들기, 탄력밴드 운동 등 웨이트 트레이닝을 포함해 팔굽혀펴기, 앉았다일어나기 등도 좋다. 걷기와 자전거 타기는 유산소운동과 근력운동을 한꺼번에 할 수 있어 추천된다. 특히 실내 자전거타기는 층간소음에서 자유로우며 관절에도 무리가 없다.
처음에는 무리하지 말아야 한다. 조금씩 움직이면서 하루씩 운동시간을 늘리고 강도를 더한다. 집안이 답답하다면 일단 마스크 쓰고 옷을 단단히 입고 나서는 것이 방법이다.
규칙적으로 골고루 먹어 영양을 보충해야 한다. 특히 좋아하는 고기류와 계란, 우유, 콩 등을 충분히 먹어서 단백질을 보충해야 한다. 햇빛이 약한 겨울에는 비타민D 보충제를 비롯한 영양제를 통해 부족한 영양 벌충하는 것도 좋다.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