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영국 등 부유한 국가들이 코로나19 백신 물량의 상당 부분을 선구매하면서 많은 나라들이 물량 확보에 어려움을 느끼고 있다. 이로 인해 비정부기구 단체들은 백신의 불공평한 분배에 대한 우려를 표하고 있다. 주요국들은 이미 인구수를 훨씬 넘는 백신 도스를 확보한 상황이다. 캐나다는 인구의 6배, 미국과 영국은 4배, 유럽연합은 2배의 물량을 백신 회사와 계약했다. 각국 정부는 자국민을 보호할 의무가 있지만 자국민에게 충분한 이득이 갈 수 있는 조건이 충족됐을 땐 타국민에 대한 배려도 함께하는 노력이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주요국이 코로나19 백신 물량을 독식하면서 개발도상국은 점점 백신 확보 대열에서 밀려나고 있다. 국제앰네스티 경제사회정의본부장인 스티브 콕번은 일부 국가들이 탄탄한 자금력을 바탕으로 생산 가능성이 보이는 백신을 선점하면서 남은 국가들은 대열에서 처지고 있다고 밝혔다. 미국 존스홉킨스 블룸버그 보건대학의 조사에 따르면 백신 물량의 51%는 전 세계 인구의 15% 미만에 해당하는 나라들에 의해 계약이 완료된 상태다.  국경없는의사회 정책보좌관에 따르면 최악의 경우 백신 접근이 어려운 저소득층 혹은 중산층 국가들은 앞으로 몇 년간 코로나19로 인한 사망자가 지속적으로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  미국 듀크대학교의 글로벌보건혁신센터 연구진은 저소득 국가들이 국민에게 충분한 백신을 공급하려면 2024년까지 기다려야 할 수도 있다는 전망을 내놓기도 했다. 주요 구호단체들은 돌아오는 2021년에 전 세계 67개국만이 국민 10명 중 1명에게 백신 접종을 할 수 있을 것이란 시나리오를 제시했다. 저소득 국가들은 코로나19가 아니어도 이미 열악한 환경에 처해 있기 때문에 백신 불균형이 이를 더욱 심화할 우려가 있다. 결국 코로나19에 가장 취약한 사람들이 가장 늦게 백신을 공급받게 되는 상황이 벌어지고 있다. 이는 이들을 경제적 위기로 더욱 몰아넣는 원인이 되기도 한다. 코로나 백신으로 국가 간 양극화가 더욱 심해질 수 있다는 것이다. 코백스 퍼실리티처럼 전 세계에 코로나19 백신을 공평하게 보급하겠다는 공동구매 프로젝트도 진행되고 있다. 하지만 역부족이다. 코백스는 2021년까지 아시아, 아프리카, 라틴 아메리카 등 91개국에 최소 백신 20억 도스를 공급한다는 목표를 가지고 있다. 하지만 현재 자금난과 구조적 문제 등으로 인해 해당 프로젝트의 실패 가능성도 예측되고 있는 지경이다. 따라서 구호단체들은 전세계적인 협조가 필요하다는 점을 지적하고 있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댓글0
로그인후 이용가능합니다.
0/150
등록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이름 *
비밀번호 *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복구할 수 없습니다을 통해
삭제하시겠습니까?
비밀번호 *
  • 추천순
  • 최신순
  • 과거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