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도권에 대한 사회적 거리두기 2.5단계가 내년 1월3일까지 연장됐다. 연말 연시를 계기로 각종 모임과 여행을 통해 감염이 확산되는 것을 막기 위해서다. 정부의 특별방역 대책에도 불구하고 거리두기에 대한 실행의지나 민감한 정도는 개인마다 차이가 있다. 가령 새해를 맞아 모처럼 부모님 댁에서 온 가족 다 같이 모이자는 쪽과 자제해야 한다는 의견이맞서게 되면 형제들 사이에도 분위기는 냉랭해진다. 코로나로 인해 만남 자체가 소원했으니 올해 가기 전 얼굴도 볼 겸 번개모임을 열자는 절친의 제안이 있다  하지만 사회적 거리두기에 충실한 사람이라면 절친의 제안을 거절해야 한다. 다만 순간적인 감정으로 상대방을 몰아세우는 것이 아니라 설득하는 방법에 대해서 알고 실행하는게좋다. 먼저 자신의 감정을 이해해야 한다. 식당에서 자신이 주문한 음식을 기웃거리는 등 조심성 없는 상대에 대해 당신이 느끼는 불편함을 인정한다. 이런 감정을 감추고 억누르면 언젠가는 당신이 통제하지 못하는 방향으로 터질 수 있다. 다음으로 질문한다. 인스타그램 등을 통해 왁자지껄한 송년 모임에 참석한 사진을 보고 댓바람에 야단부터 치는 것은 성급하다. 당시 어떤 상황이었는지 물어봐 주는 것이 중요하다.  공감해야 한다. 당신이라고 흥청망청 어울려 놀고 싶은 마음이 없을까. 사회적 거리두기를 지키는 뜻에서 행동을 절제할 수 있을 뿐 같은 욕망을 품고 있을지 모른다. 자기 내면을 들여다보는 것은 위선을 예방하고 비판적 사고방식을 줄이며 공감을 키우는 지름길이다. 인신공격을 하지 않아야 한다. 남의 생활방식을 대놓고 비난하는 일은 피해야 한다. 야외 산책과 화상대화 등 서로에게 편안한 방식의 만남을 제안해 대화를 나눈다. 단호한 태도를 유지해야 한다 주변에서 당신의 고지식한 태도를 놀린다 해서 감염방지를 위한 당신의 노력이 잘못 됐음을 뜻하는 것은 아니다. 당신이 정한 거리두기 경계선을 철저히 지킨다. 미래를 계획해야 한다. 지금 만나지 못해도 코로나 종식 이후 여행이나 취미활동 등 친구들과 하고 싶은 일을 함께 계획한다. 미래에 대한 희망은 탄탄한 관계를 맺는데 도움이 된다. 코로나 시대는 우리에게 단절이 아니라 더 많은 연결이 필요하다는 사실을 일깨워 줬다. 가까운 사람들과의 인연을 소중히 여기고 유대감을 키우려는 노력이 그 어느 때보다 절실하다는 것을 기억해야 한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댓글0
로그인후 이용가능합니다.
0/150
등록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이름 *
비밀번호 *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복구할 수 없습니다을 통해
삭제하시겠습니까?
비밀번호 *
  • 추천순
  • 최신순
  • 과거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