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허청은 지난 13일 공기청정기 분야의 국내 특허출원이 2010년 71건에서 지난해 507건으로 7배 이상, 2015년부터 2019년 최근 5년간 연평균 52.4% 급증했다고 전했다.
실내 미세먼지를 제거하는 다양한 집진 방식의 공기청정기 분야가 특허출원을 지속하고 있을만큼 빠르게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는 미세먼지에 대한 유해성을 국민이 인식하면서 청정공기에 대한 수요가 급증한 결과로 예측되고 있다.
특히 이를 해결하기 위해 기업이 발 빠르게 움직이면서 다양한 기능을 가진 공기청정기가 개발되고 있다.
2010년부터 지난해까지 국내 특허출원 유형을 보면 중소기업이 31%, 개인이 26%, 대기업이 23%, 중견기업 14% 순이다. 외국인의 국내 출원은 3%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사실상 공기청정기 시장은 국내에서 독점하고 있는 셈이다.
중소기업의 출원비중이 높은 것은 첨단 기술에 비해 상대적으로 기술적 접근이 쉽고 국내 수요가 높아 시장성이 크다는 분석이다. 또한 개인 출원비중이 높은 것도 생활 속 아이디어를 출원하는 것 때문이다.
국내 출원 가운데 내국인 출원의 8.5%는 해외에서 특허권 획득을 위해 해외로 출원도 되고 있다. 내국인 출원이 출원되는 국가는 미국, 중국, 유럽, 일본순이었다.
공기청정기는 미세먼지를 거르는 집진 기술 방식에 따라 필터방식, 습식방식, 전기집진방식, 광촉매방식으로 구분된다. 그러다 보니 특허 출원도 필터방식(68%), 습식방식(14.5%), 전기집진방식(11%), 광촉매방식(6.5%) 순으로 이어지고 있다.
특허청 관계자는 “청정 기술은 전세계적으로 시장이 급속도로 성장하고 있다”며 “세계시장 선점을 위한 우리기업의 해외출원을 확대할 필요가 있을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한편 집진 기술 방식은 각각 차이점을 보인다. 필터방식은 미세한 부직포를 이용해 미세먼지를 걸러낸다. 습식방식은 물의 흡착력을 이용해 집진 능력을 높여 가습기능을 겸한다. 전기집진방식은 전기방전으로 미세먼지를 대전시켜 제거하는 방식이다.
마지막으로 광촉매 방식은 광촉매 물질 표면에 자외선을 쬐 활성산소가 발생하게 하고 이를 이용해 미세먼지를 제거하는 방법이다.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