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8일 정부는 서울웨스틴조선호텔에서 코로나19 치료제 및 백신개발 범정부 지원단 2차회의를 열었다고 밝혔다.
이날 회의에는 박능후 보건복지부 장관과 최기영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 관계부처 차관, 국내 치료제 및 백신 분야 전문가 등이 참석했다. 회의는 코로나19 치료제와 백신 등 개발 동향과 전략을 점검했다.
이어 개발 속도를 높이기 위한 규제개선 지원방향 등에 대해서 심도 깊은 대화를 나눴다. 정부는 지난 달 17일부터 치료제, 백신, 방역용품 및 기기 3개 분과회의를 매주 운영하고 있다. 또한 범정부 지원단 및 실무추진단 회의를 격주로 개최하는 등 지원체계를 본격 가동중이다.
범정부 지원단 산하에 기업 애로사항 해소 지원센터를 설치하고 국내 코로나19 치료제 및 백신 등 개발 기업에 대한 밀착상담과 애로사항 발굴, 신속 해소를 지원한다.
이날 회의에는 국내 코로나 19 치료제 백신, 개발 현황이 보고됐다. 기존 약물의 적응증 확대 연구 7종이 임상시험을 진행하고 있으며 빠르면 올해 말에 출시 가능할 전망이라고 말했다. 백신 분야는 후보 물질 3종이 올해 중 임상시험을 개시할 예정이다.
따라서 백신 생산은 다음 해 하반기에 가능할 것으로 내다봤다. 범정부 지원단은 치료제, 백신 개발의 가속화를 위해 시급한 제도 개선사항 2건을 추진하기로 했다. 혈장 치료제 개발을 위한 제도적 지원 방안이 첫 과제다.
이를 위해 보건복지부는 코로나19 완치자 혈장을 채취할 수 있도록 대한적집자사에 관계 법령을 적극 해석하기로 결정했다. 또한 혈장채혈 장비가 부족한 의료기관에는 성분채혈기 임대를 통해 혈장 채혈이 가능하게 지원한다.
또한 치료제 개발용 혈장 채취에 관한 세부 절차를 담은 혈장 치료제 개발을 위한 코로나19 완치자 혈장 채취지침도 마련할 계획이다. 이외에도 민간 기업의 치료제, 백신개발 촉진을 위한 생물안전시설의 민간 지원 방안도 마련된다.
코로나19 치료제 및 백신 후보 물질의 효능 평가는 생물안전 3등급 시설을 필요로 한다. 하지만 민간에서 자체 시설 구축이 어려워 자연스럽게 공공기관 시설의 개발 및 활용에 대한 수요가 높아지는 실정이다.
이에 질병관리본부는 홈페이지에 해당 운영기관 목록을 게시하고 민간의 연구시설 이용 수요를 검토 후 연계를 지원해 활용도를 높일 예정이다.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