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양경찰청은 오는 10월까지 수상레저 활동 성수기를 맞아 안전관리 강화에 나선다고 밝혔다. 최근 3년간 수상레저기구 충돌, 전복 등의 사고는 488건이다. 이 가운데 성수기인 5월부터 10월에 71% 인 347건이 집중돼 나타났다.
사고 원인은 대부분 안전 부주의로 인해 나타난 것으로 밝혀졌다. 지난 2일 수상오토바이를 타고 완도에서 제주 서귀포까지 원거리 수상레저활동 신고도 없이 운항한 동호회원 18명이 해경에 적발된 사례도 나타났다.
원거리 활동이기 때문에 혹시라도 모를 조난 위기 등을 대비해 미리 신고해야 한다. 이러한 절차가 없었다는 것 자체가 안전부주의가 심각하다고 볼 수 있다.
해양경찰청은 수상레저활동이 본격화되는 이번 달부터 집중 안전관리를 실시한다고 말했다. 전국 레저보트 선착장 등에 대해 조사를 실시하는 한편 사고 다발 해역을 선정, 파출소, 함정 순찰을 강화한다.
암초나 어망이 많아 레저 활동 제한이 필요한 구역이나 수상레저 활동 금지구역을 점검해 재정비하게 된다. 또한 수상레저 안전문화 확산 운동을 위한 국민 안전의식 개선에도 나선다. 표류 등 단순 사고가 충돌 등 2차 사고로 이어질 수 있는만큼 운항 전 장비점검, 배터리 확인 등을 철저히 해야 한다.
이를 위해 홍보활동을 진행하는 한편 수상레저기구 무상점검 서비스도 실시한다고 밝혔다. 또한 해양경찰청은 구명조끼 미착용, 원거리 수상레저활동 미신고, 사업장 내 무질서한 운항, 미등록 영업 행위, 보험 미가입, 안전검사 미수검 등 안전과 직결된 위반 행위는 사전 홍보 뒤 합동 단속반을 구성해 강력하게 단속하겠다고 밝혔다.
해양경찰청은 “레저 사고 예방을 위해 철저한 안전관리와 강력한 법집행을 실시할 계획이다”며 “국민 스스로 출항전 레저기구 등 상태를 점검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기상 확인은 물론 구명조끼 착용 등 안전수칙을 지켜야 한다”며 “이를 통해 안전한 레저 문화 정착에 힘 써 달라고”고 덧붙였다.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