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이러스는 한 번 몸속에 들어오고 나서 오래 남는다. 애초에 바이러스가 퍼지지 않도록 방역하는게 무엇보다 중요하다. 바이러스 전파를 막는 새로운 방역 패러다임으로 주목받고 있는 것이 바로 코세척이다. 지금까지 개인 차원에서 1차 방역은 마스크 착용과 손 씻기다. 그러나 탄탄한 방역 체계를 구축하기 위해서는 2차 방역으로 코 세척을 더해야 한다는 전문가 의견이 제시되고 있다. 알레르기, 천식, 면역학회지에 실린 2013년 논문에 다르면 알레르기 비염 환자의 다수에서 호흡기 증상을 일으키는 바이러스를 발견했다. 알레르기 비염이 없는 환자 61명 중 15명, 알레르기 비염 환자 58명 중 25명이 콧속에 호흡기 바이러스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같은 해 미국 미생물학회지에 발표된 연구 논문에서도 부비동염 환자의 점막에서 여러 종류의 호흡기 바이러스가 발견되기도 했다. 정상인은 8%, 부비동염 환자는 20%까지 바이러스가 검출됐다고 밝혔다. 이 논문은 최근 감기 병력이 없는 사람의 코 점막에서 바이러스를 검출했다. PCR 검사 등을 통해 부비동염이나 알레르기 비염 환자는 물론 질환이 없는 대조군에서도 적지 않은 바이러스가 검출됐다고 확인했다. 콧속 점막을 긁어 바이러스 존재 여부를 확인하는 PCR 검사는 바이러스를 시료에서 키워 시간도 오래 걸리고 민감도도 떨어지는 기존 검사에 비해 유용하다. 검사 시간이 짧고 민감성이 높다. 하지만 PCR 검사를 통해 죽은 바이러스가 발견되기도 한다.  미량의 바이러스 RNA를 검출하는 검사법이다보니 완치 판단을 내리는데 기술적인 한계가 있다는 지적이다. 결국 바이러스 존재 여부를 확인하는 진단 검사도 중요하다. 또한 치료제 및 백식을 개발하는 것도 필수다. 하지만 당장은 방역 체계를 탄탄히 구축하는 것이 즉각적인 실효성이 더 크다. 전문가는 “감기, 인플루엔자, 코로나19 등은 한 번 들어오면 흔적이 오래 남는다”며 “죽은 바이러스 시체들이 청소되지 않아 발견될 수 있다”고 말했다. 이어 “살아 있는 바이러스가 상피세포에 남아 우리 몸에 영향을 미칠 수도 있다”며 “코 세척은 필수적으로 이뤄져야 한다”고 덧붙였다. 한편 코 세척을 하게 되면 방역 체계가 더욱 탄탄해진다. 특히 코감기 환자의 코점막 상피세포에 저농도 차아염소산 용액을 주입하게 되면 바이러스가 사멸하게 된다는 연구결과도 나왔다. 이런 점에서 코 세척을 2차 예방책으로 이용하는게 좋다는 지적이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댓글0
로그인후 이용가능합니다.
0/150
등록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이름 *
비밀번호 *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복구할 수 없습니다을 통해
삭제하시겠습니까?
비밀번호 *
  • 추천순
  • 최신순
  • 과거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