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정안전부는 지난 달 29일 2019 내진보강대책을 추진한 결과 공공건축물, 도로 등 기존 공공시설물의 내진율을 67.2% 확보했다고 밝혔다. 전체 시설물 18만 8880곳 가운데 12만 6994곳이 내진 성능이 보강됐다. 내진보강대책은 기관별로 기존 공공시설물 내진보강 기본계획에 따라 소관 시설물에 대한 내진 성능 향상을 목표로 매해 수립, 추진하고 있다. 기존 공공시설물 내진율은 1단계 내진보강 기본계획이 수립된 2011년 이후 지속적인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 특히 포항지진 이후 지난 5년 평균과 비교해 예산투자가 크게 늘었다. 17년 4.02배에서 지난해 6.02배를 기록하기도 했다. 이를 통해 내진 성능 확보 건수가 늘어나 내진율이 높아진 것으로 분석된다. 지난해 8722억 원이 투입된 사업으로 20종 8800곳에 대한 내진 성능을 확보하기도 했다. 여기에는 공공건축물 3805건, 학교 시설 3083건, 도로시설 806건 순으로 내진 성능을 확보했다. 전체 33종 시설 가운데 고속철도나 다목적댐, 원자로 관계시설 등 6종 시설은 내진율 100%를 달성했다. 이는 지진 발생 시 가장 많은 인명피해가 예상되기 때문이다. 도시철도와 전력시설은 각각 99.7%, 99%의 내진율을 확보했다. 이외에도 8종의 시설에 대해서는 내진율 80% 이상을 확보해 인명사고 예방에 도움을 주고 있다. 행정안전부는 올해 2단계 기존 공공시설물 내진보강 기본 계획 추진 기간이 종료됐다고 밝혔다. 현재까지 진행된 내진보강 사업 결과를 토대로 2021~2025년 3단계 기본 계획을 수립할 예정이다.  3단계 기본계획에는 내진율 저조 시설물, 중요도, 노후도, 규모 등을 고려해 시설물별 내진보강 우선순위와 핵심 시설물을 지정, 내진율을 집중관리한다는 방침이다. 행정안전부는 “2017년 이후 공공시설물 내진보강사업 투자 규모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중이다”며 “내실 있는 사업이 될 수있도록 성능평가와 보강공사를 지속적으로 추진하고 있다”고 밝혔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댓글0
로그인후 이용가능합니다.
0/150
등록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이름 *
비밀번호 *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복구할 수 없습니다을 통해
삭제하시겠습니까?
비밀번호 *
  • 추천순
  • 최신순
  • 과거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