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령 조기 식도암 환자도 내시경 치료를 받아도 안전하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서울아산병원 소화기내과 김도훈 교수팀은 표재성 식도암으로 내시경 점막하절개 박리술을 받은 환자를 연구한 결과 안전하다는 결론을 얻었다고 밝혔다.나이가 많으면 몸이 쇠약해지거나 기저 질환이 생길 경우 치료 결과가 달라질 수 있다. 특히 식도는 내벽이 얇아 고난도 내시경 기술이 필요하다. 문제는 고령의 조기 식도암 환자에게는 안전성이 입증되지 않았다는 점이다.그러나 연구 결과 안전성이 입증됐다. 이번 연구는 75세 이상과 미만 두 집단으로 나눠 분석을 진행했다. 그 결과 같은 위치에 재발한 사례는 두 집단 모두 한 명도 없었으며 출혈, 천공 등 부작용 발생률과 병원 입원 기간 등은 거의 비슷하게 나타났다.식도암 수술은 식도 대부분을 절제한 뒤 남아 있는 식도에 위나 대장을 연결하는 방법이다. 수술 범위가 커 내시경 치료 보다 합병증 위험이 크고 통증이 심해 수술 후 삶의 질이 떨어질 수 있다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따라서 내시경 치료가 가능한 조기 단계에 암을 발견하는 것이 좋다. 림프절 전이가 없으면서 암이 점막층에만 얕게 국한된 표재성 식도암의 경우 내시경을 통해 특수 전기칼로 암세포를 도려낼 수 있다.김 교수팀은 2005년 12월부터 2017년 12월까지 표재성 식도암 환자 413명을 두 집단으로 나눠 치료 후 재발률, 부작용, 입원기간 등을 평균 약 33개월 동안 분석했다. 그결과 59~70세 사이 총 459개의 식도암 병변을 확인했다. 75세 미만 환자는 369명으로 병변은 408개, 75세 이상 환자는 44명으로 병변은 51개였다.분석 결과 전체 식도암 환자 중 추적 기간 내 같은 위치에 암이 재발한 경우는 단 한건도 없었다. 또한 시술 부작용은 75세 미만, 75세 이상 집단에서 각각 출혈은 1.2%, 2.0% 발생했다. 천공은 3.9%와 5.9%, 협착은 5.6%와 7.8%, 폐렴은 0.7%와 0%로 유의미한 차이가 발생하지는 않았다.이러한 부작용은 내시경 시술 중 해결되거나 수술 없이 항생제 투여 등 가벼운 처치로 회복된다. 따라서 사실상 거의 문제가 발생하지 않은 셈이다. 환자 병원 입원 기관도 75세 미만 환자는 3~4일, 75세 이상 환자는 3~5일로 거의 차이가 발생하지 않았다.한편 이번 연구결과는 국제 노년학&노인의학학술지에 게제됐다고 밝혔다.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