질병관리본부는 올해 1분기 예방접종률 분석 결과 65세 인구의 폐렴구균 접종률이 지난해 동기간 대비 1/3 수준으로 감소했다고 밝혔다. 2019년 1분기 18.2%를 기록했으나 현재는 6.2%로 줄어들었다.어린이 필수예방접종 10종 중 12개월 이후 첫 접종이 이뤄지는 백신 접종률은 지난해 대비 1% 감소했다. 만 4~6세 이후 이뤄지는 추가 접종률은 지난해 대비 2~3% 떨어졌다고 밝혔다. 단 12개월 이전에 접종이 시작되는 백신의 1,2차 기초 접종률은 97~98%로 지난해와 동일한 수준이었다.국가 예방접종률이 지난해 같은 기간 대비 감소하게 되면서 보건당국은 예방접종을 해야한다고 조언했다. 코로나19 유행기간이라고 하더라도 필요하다는 전언이다.코로나19로 인해 많은 사람이 병원 가기를 꺼려하고 있다. 그러다 보니 예방접종을 미루는 추세를 보인다. 연말 코로나19 대응과 함께 예방 접종 대상 감염병 유행도 함께 대응해야 하는 이중고를 고려해서 접종을 실시해야 한다는게 전문가의 조언이다.개학을 하면 학교를 중심으로 수두, 유행성이하선염 등의 집단 발생 위험이 증가한다. 또한 코로나19가 안정세를 보이면서 해외 교류가 증가하게 되면 홍역, 풍진 등 해외 유입 감염병 유행도 대비해야 한다.따라서 표준일정에 따른 적기 예방접종을 중단없이 실시해야 한다. 고령층의 경우 치명적인 폐렴구균 감염증과 합병증으로 인한 중증환자 발생은 중환자실 이용률을 높여 의료 시스템에 부담이 된다. 65세 이상은 폐렴구균 예방 접종을 실시하는 것이 좋다.세계보건기구도 지난달 26일 예방접종 대상 감염병이 확산되지 않도록 지속적인 예방 접종 원칙을 제시하는 지침을 발표하기도 했다. 예방접종이 중단되면 감염병 발생 가능성이 높아지기 때문에 연속성을 유지해야 한다는 방침이다.질병관리본부는 안전한 예방접종 실시 방안 등을 마련하고 의료계와 협조해 국민에게 예방 접종을 독려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이를 위해 예방접종 실시를 위해 의료기관이 준수해야 하는 사항이나 접종대상자와 보호자가 병원 방문 시 지켜야 할 안전 수칙에 대한 안내서를 배포할 예정이다.안심하고 의료기관 방문을 통해 예방접종을 받을 수 있도록 사전 예약 시스템을 개발, 운영할 방침이다. 5월 말부터 각 의료기관에서 접종 가능한 백신과 시간 등을 확인하고 이를 사전예약이 가능하도록 할 계획도 밝혔다.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