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이 코로나 19로 확산으로 인해 몸살을 앓는 가운데 가정 내 소독제 오남용으로 인한 사고가 급증하고 있다.질병통제예방센터는 지난 20일 보고서를 통해 1~3월 동안 긴급 전화에 걸려온 중독 관련 사고를 집계한 결과 소독제 및 세제와 관련한 사고가 4만 5천여 건에 달했다고 밝혔다. 이 수치는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20%, 2018년 보다 16% 늘어난 수치다.이번 보고서를 작성한 의료진은 긴급전화에 도움을 요청하지 않은 경우를 합치면 실제 사고 건수는 훨씬 더 많을 것이라고 바라봤다. 의료진은 어린이가 소독제를 만지거나 마시는 경우와 다양한 소독제를 함부로 섞어 쓰는 경우를 가장 우려했다.한 사례로 취학 전 아동이 손 소독제를 마셨다. 이로 인해 병원에 실려간 아이는 소아집중치료실에서 48시간이 지나 퇴원할 수 있었다. 또한 장 본 식자재를 깨끗이 닦으려던 한 여성은 염소가스를 마신 뒤 병원에 실려가기도 했다.싱크대에 뜨거운 물을 받은 뒤 락스와 식초를 뿌려 염소가스가 발생한 것이다. 락스는 저렴하고 효과적인 소독제다. 하지만 뜨거운 물이나 다른 화학물질과 섞어 쓰게 되면 위험성은 높아지게 된다.디아네 칼렐로 박사는 “코로나19로 겁을 먹은 일부 시민들이 위생 문제에 과도하게 반응하고 있다”며 “4월에는 사고가 더 늘어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한편 우리나라는 빠르게 안정세를 되찾고 있는 추세다. 십수명으로 하루 확진자 수가 줄어들면서 이에 대한 사회적 거리두기 완화가 조금씩 이뤄지고 있다.문제는 아직까지 집단 감염의 위기가 높다는 점이다. 따라서 소독제를 비롯한 위생용품을 사용해 만전을 기해야 한다. 부산에서는 간호사가 코로나19 양성 반응이 나오면서 또 다른 집단 감염 가능성을 보이고 있다.마스크를 잘 쓰고 있더라도 방심하게 되면 감염 될 수 있다. 잠시 대화를 하기 위해서 마스크를 내렸음에도 3차 감염이 발생하는 등 아직까지 긴장을 놓을 수 없다. 이에 전문가는 아직까지는 긴장을 놓을 때가 아니라고 조언한다.특히 질병관리본부는 올 겨울 다시 코로나 대유행을 예상하면서 코로나19 대응에 긴장을 놓아서는 안된다고 강조했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댓글0
로그인후 이용가능합니다.
0/150
등록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이름 *
비밀번호 *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복구할 수 없습니다을 통해
삭제하시겠습니까?
비밀번호 *
  • 추천순
  • 최신순
  • 과거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