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보건기구는 최근 코로나19 방역 조치를 완화하려는 일부 국가의 움직임에 지침을 마련했다고 밝혔다.UPI통신은 해당 지침이 보건 당국이 방역 완화 여부를 판단할 때 고려해야 하는 조건들이 담기게 된다고 밝혔다. 여기에는 모든 접촉자와 감염자를 추적, 치료할 역량이 있는지 여부 등이 포함되게 된다.자세히 지침을 살피면 요양원 등 보건 시설의 집단 감염 위험을 최소화할 수 있는지 여부와 노동자의 일터 안전, 시민이 새로운 수칙을 숙지하고 자발적으로 지키는지 등이 포함된다고 밝혔다.코로나19로 인해서 봉쇄와 사회적 거리 두기 조치가 길어지면서 경기 침체가 이어지고 있다. 이에 일부 국가는 제재를 완화하려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가장 대표적인 국가는 미국이다.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오는 5월 1일을 기점으로 미국 경제를 정상화하겠다는 의지를 보였다. 이에 대해 토머스 잉글스비 존스홉킨스대 보건안전센터 국장은 “사회적 거리 두기가 무너지면 3월 초 상황이 재현될 수 있다”고 경고했다.그는 5월 1일 정상화를 한다는 것 자체가 너무 이르다고 평가했다. 유럽 연합은 각 국가별로 다른 입장을 내보이고 있다.스페인은 건설 제조 일부 업종에 봉쇄 조치를 완화했다. 독일은 공공시설과 상점 영업 제한을 해제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그러나 프랑스의 경우 이동금지 명령을 5월 11일까지로 연장했다. 마크롱 대통령은 “프랑스는 아직 코로나19가 완전히 통제되지 않았다”며 이와 같은 조치를 연장해야 하는 이유를 밝혔다.영국의 경우 도미닉 라브 총리 권한 대행이 직접 “현 시점에서 규제를 늦추지 않는 것이 절대적으로 중요하다”고 밝히며 지속적인 규제 조치를 이어나갈 것을 천명했다.반면 우리나라의 경우 생활 방역 단계를 고심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신규 확진자가 30명 아래로 줄어들게 되면서 고강도 사회적 거리 두기를 완화하는 조건을 모두 갖추고 있다. 문제는 타이밍이다.정세균 국무총리는 “섣부른 완화는 되돌릴 수 없는 대가를 치른다는 점에서 매우 조심스럽게 접근해야 한다”고 강조했다.일부에서는 15일 총선을 전후로 생활 방역이 이뤄질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가장 많은 사람이 모이는 총선이니만큼 선거 이후 30명 아래로 확진자가 지속된다면 생활 방역으로 넘어갈 조건을 모두 갖춘 셈이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댓글0
로그인후 이용가능합니다.
0/150
등록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이름 *
비밀번호 *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복구할 수 없습니다을 통해
삭제하시겠습니까?
비밀번호 *
  • 추천순
  • 최신순
  • 과거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