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 의료 전문가는 북한이 코로나19 대응에서 일정 부분 성공을 거두고 있다고 평가했다. 그는 지난 1월 중국과의 국경을 폐쇄한 조치와 국경 근처 중국 지역에서 전파가 심하지 않은 덕분이라고 분석했다.UPI통신은 미국 하버드 의과대학 세계보건과 강사인 박기범 박사와의 인터뷰를 보도했다. 그는 미국평화연구소 토론회에서 코로나19 대응에 있어 북한이 생각보다 좋은 결과를 얻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고 밝혔다.박기범 박사는 재미한인의사협회 북한프로그램에서 이사를 맡고 있다. 최근 10년 동안 인도적 목적으로 북한 방문을 한 바 있다. 또한 지난해 북한 평양 의료시설에서 수술을 한 경험도 있다.그는 코로나19 확진자가 단 한 명도 없다는 북한의 주장에 대해서는 견해를 따로 밝히지는 않았다. 다만 북한이 중국 당국에서 후베이성을 봉쇄하기 이전에 국경을 폐쇄하는 조치를 취한 것에 대해 설명했다.이로 인해 북한이 어느 정도 방역에 효과를 보게 됐다고 평가했다. 게다가 북한과 인접한 중국 지역에서 코로나19 확진자가 많이 나오지 않은 것도 코로나19 확산을 방지하는데 도움이 됐다.박 박사는 “북한은 확진자가 나오면 재빨리 격리하는 조치를 취하고 있다”며 “이런 조치들로 북한이 가까스로 코로나19 확산을 막아내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고 평가했다. 그러나 코로나19가 전 세계로 전파됐고 러시아 지역에서 증가하고 있기 때문에 문제는 언제든지 커질 수 있는 것으로 내다봤다.이에 대해 정 반대 의견을 내놓는 관계자도 있다. 지난 3월 로버트 에이브럼스 주한미군 사령관은 “북한의 국경 폐쇄 조치 이후 북한군의 활동이 거의 없다는 점에서 코로나19가 북한군에도 영향을 준 것으로 거의 확신하고 있다”고 밝혔다.데이비드 맥스웰 민주주의수호재단 선임연구원도 코로나19가 북한에 큰 충격을 줄 것으로 보인다는 견해를 피력했다. 이로 인해 북한 내부의 불안정성이 증가해 미국과 동맹국에 위험이 될 수 있다고 내다봤다.결국 북한에서 일어날 수 있는 만일의 사태에 대비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그는 “최근 믿을만한 정보에 의하면 군의관 4명을 포함해 북한군인 200여 명이 코로나19로 사망했다”고 UPI 통신을 통해 전한 바 있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댓글0
로그인후 이용가능합니다.
0/150
등록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이름 *
비밀번호 *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복구할 수 없습니다을 통해
삭제하시겠습니까?
비밀번호 *
  • 추천순
  • 최신순
  • 과거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