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에 한 번 걸렸던 사람이 또 다시 재발할 가능성이 낮다는 전문가의 의견이 나왔다. 하지만 모든 사람에게 해당하는 것은 아니라고 덧붙였다.미국 국립 알레르기 감염병 연구소 앤서니 파우치 소장은 지난 8일 미국의학협회지와의 인터뷰에서 일반적으로 감염병에 걸리고 나면 일정 기간 안에 바이러스로부터 우리 몸을 보호할 수 있는 항체를 형성하게 된다고 밝혔다. 2~3월에 감염됐다가 회복된다면 다음 9~10월에는 면역력이 형성돼 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이번 코로나19의 확산 속도가 어느 때보다 빨랐던 이유는 이 바이러스가 신종이기 때문이라고 분석했다. 면역 시스템이 이에 대비할 수 있는 항체를 형성하는 시간이 필요하다고 분석했다.일반적으로 특정 질환의 회복 과정에서 항체가 형성되며 동일한 질환에 걸리지 않는다. 하지만 코로나19의 경우 돌연변이가 잦기 때문에 항체를 형성해도 변종으로부터 보호가 안된다. 파우치 소장은 코로나19 역시 그럴 가능성이 있다고 보고 있다.다만 가능성 자체는 높지 않다고 분석한다. 현재까지 확인된 바로는 코로나19가 감기나 독감처럼 돌연변이가 급격하게 일어나고 있지는 않다. 현재까지 확인한 바로는 코로나19가 감기나 독감처럼 돌연변이가 급격하게 일어나고 있지는 않은 것으로 보기 때문이다.다만 일부 과학자는 코로나19에 대한 면역력을 누구나 가질 수 있는 건 아니라고 본다. 앞선 연구에 의하면 코로나19로부터 회복한 환자 중 일부는 코로나19를 상쇄시킬만한 충분한 항체를 형성하지 못했다.중국에서 이뤄진 연구에 따르면 환자 130명 중 10명이 항체를 형성하지 못했다. 이들은 재감염 우려가 있다는 의미다.이는 백신을 만드는데 있어서도 매우 중요한 정보라는게 전문가의 의견이다. 코로나19에 감염됐던 사람 중 항체를 제대로 형성하지 못하는 사람이 존재하는 의미는 백신으로 면역력을 획득하지 못하는 사람도 존재할 것이란 의미다.한 전문가는 “백신 개발자가 이러한 부분을 충분히 고려해야 한다”며 “재감염이 일어나는 이유에 대해서도 항체 여부에 따라 달라지기 때문에 이를 해소할 수 있어야 한다”고 말했다.이어 “코로나19의 최선의 방법은 예방에 있다”며 “당분간 백신 개발이 되기 전까지는 최대한 조심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댓글0
로그인후 이용가능합니다.
0/150
등록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이름 *
비밀번호 *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복구할 수 없습니다을 통해
삭제하시겠습니까?
비밀번호 *
  • 추천순
  • 최신순
  • 과거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