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사는 호흡기 질환을 유발해 심하면 사망에 이르게 할 수 있는 재난이다. 이러한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국민 전반의 대비가 필수적이다. 이에 국민재난포털은 황사 발생 전 행동요령에 대해 가정과 교육기관, 축사 등의 장소로 구분해 알려줬다. 일반 가정의 경우에는 가족과 함께 준비해야 한다. 황사가 실내로 들어오지 못하도록 창문 등을 점검해야 한다. 혹여라도 실내에서 황사가 들어오게 된다면 고스란히 흡입할 가능성이 높다. 이를 대비해야 한다. 실내 공기정화기나 가습기 등을 준비해 미리 대비하는 것이 좋다. 외출 시에는 필요한 보호안경, 마스크, 긴소매 의복 등을 미리 준비한다. 본격적인 황사 시즌이 오게 되면 마스크의 경우 구하기 어려워질 수 있다. 포장되지 않은 식품에 대해서는 오염되지 않도록 위생용기 등에 넣는게 좋다.  학교 등 교육기관에서는 교직원이 함께 대처해야 한다. 기상청에서 발표한 기상예보를 분석해 지역 실정에 맞는 휴업 또는 단축수업을 신중히 검토한다. 학생의 비상연락망을 사전에 점검하고 연락체계를 유지해야 한다. 휴업을 하는 경우 맞벌이 부부 자녀에 대해서는 학교에서 자율학습을 하도록 해야 한다. 이는 맞벌이부부의 아이를 갑작스럽게 맡기기 어렵다는 점을 고려한 조치다. 학생과 학부모를 대상으로 황사 피해예방 행동요령을 지도 및 홍보해야 한다. 축사와 시설원예 장소에서는 지역 주민이 함께 대비해야 한다. 운동장 및 방목장에 있는 가축을 대피시킬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또한 노지에 방치, 야적된 사료용 볏짚 등을 덮을 피복물을 준비하는 것이 좋다. 동력 분무기 등 황사 세척용 장비를 점검하고 비닐하우스, 온실 등 시설물의 출입문과 환기창을 점검해야 한다. 제조업체 등 사업장에서는 자재 및 생산제품의 야적을 억제해야 한다. 어쩔 수 없는 경우에는 포장을 덮어 황사 먼지가 들어가지 않도록 조치해야 한다. 황사는 이산화탄소 등 실내오염물질이 많이 들어오기 때문에 사전에 준비하는 것이 좋다. 특히 노약자나 호흡기 질환자의 경우 실외활동을 줄이고 외출 시 마스크 착용이 필수다.  코로나19로 인해 관심이 다른 곳으로 쏠려 있는 상황이다. 하지만 황사는 꾸준하게 지속되고 있다는 점에서 이를 미리 대비하는게 좋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댓글0
로그인후 이용가능합니다.
0/150
등록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이름 *
비밀번호 *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복구할 수 없습니다을 통해
삭제하시겠습니까?
비밀번호 *
  • 추천순
  • 최신순
  • 과거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