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ption id="attachment_631" align="alignleft" width="260"] 한국인터넷기자협회 마케팅부회장 최문근[/caption] 버클리 ICO가 시의회 승인을 얻으면서 금주내 현실화될 전망이다. 캘리포니아시는 블록체인 도입을 추진하는 미국 최초의 지역은 아니다. 하지만 혁신을 지속적으로 해내면서 빠르게 시간을 줄이고 있다. 버클리 북부 시의회 공무원들은 화요일 만장일치로 도시 관리자가 블록 체인 기술과 ICO를 사용해 일반 채권 제공을 통한 자금 모으기가 가능하도록 투표했다. ICO 합법화가 이뤄지게 되는 것이다. 3.8조 달러의 시채 채권 시장에는 그동안 우선권이 없었다. 블룸버그 통신은 버클리가 이와 같은 결정을 지속해 나갈 경우 채권 발행을 위해 공공 재정에서 블록체인 기술을 사용하는 첫 도시가 될 것이라고 보도했다. 현재 시는 시범 프로그램으로 블록체인으로 새로운 소방차 기금 모금을 선택했다. 이 기금에 3백만 달러를 지급했다. 채무 증서는 도시가 공공 장부에서 채권을 발행할 수 있는 해역을 테스트하는 방법이 된다. 성공하게 되면 주택 프로젝트로 확장될 전망이다. 이와 같은 움직임은 전 세계적으로 발견되고 있다. 과열화된 암호화폐 시장에서 ICO를 규제하기에 급급했던 정부가 서서히 방향을 틀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모습은 우리나라에서도 일어나고 있다. 지난 2일 국회에서 열린 암호화폐와 블록체인 기술에 관한 포럼에서 ICO 출범을 합법화하기 위한 법안이 만들어질 예정이다. 민주당 홍의락 의원이 대표발의하는 블록체인 기본법은 교육 및 전문 인력 양성과 블록체인 표준화, 블록체인 산업 국제협력 추진 등의 내용을 담는다. ICO를 무조건 규제하는 것이 아닌 산업을 성장시키기 위한 전략으로 삼는 것으로 추세가 바뀌고 있는 것이다. 물론 여기에는 정부가 ICO에 관련해서 최소한의 규제안을 마련한다는 포석이 깔려있다. 또한 이를 통해 산업을 육성하게 되면 향후 미래 4차산업 패권을 가져올 수 있다는 계산도 있는 것으로 보인다. 다른 국가도 ICO와 관련된 산업 육성에 서서히 나서고 있는 눈치다. 필리핀의 경우 자유경제구역에 한해 암호화폐 업체의 설립을 허용하고 ICO를 합법화하고 있다. 중국을 비롯해서 규제를 했던 국가들이 서서히 합법화로 움직이고 있는 것이다. 특히 버클리의 공공 채권에서 블록체인 사용은 획기적인 첫 걸음이다. ICO 합법화를 통해 어떤 국가에서 향후 블록체인 산업의 메카로 자리 잡을지 시장의 관심이 모이고 있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