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코인뉴스=최정민기자] 최근 2천만 달러가 해킹된 암호화폐 거래소 빗썸이 추가 통지 때까지 예치금을 넣는 것을 중단하라고 고객에게 요청했다. 고객에게 보낸 전자 메일을 통해 거래소는 고객 자금이 손실되지 않았다고 주장했다. 그러나 이번 요청은 수사기관의 수사를 위해 요청드리는 사항이라고 밝혔다. 메일에 따르면 “지난 29일 발생한 내부 횡령 사건과 관련해 외부 기관을 통해 회원의 자산을 확인하고 조사 기관과 협력하기 위해 암호화폐 기탁을 중단하도록 요청하고 싶다”고 밝혔다. 내부횡령은 물론 중앙 집중식 교환의 근본적인 위험이다. 은행과 장갑차가 결코 안전하지 않은 것처럼 사람 손에 닿으면 수백만 달러의 사기 위험이 항상 존재한다. 이 경우 빗썸 직원으로 추정되는 해커는 고객을 떠나 회사 자금에 손을 댄 것으로 추측된다. 빗썸은 수사에 이어 공시와 실사 과정을 거쳐 파산에 대한 고객의 우려를 효과적으로 줄이겠다고 말했다. 수사는 해커의 신원을 밝힐 수도 있고 그렇지 않을 수도 있다. 거래소 해킹에 대한 조사의 기록은 흠집이 있다. 때리거나 빗나가거나 때로는 나쁜 사람이 잡히기도 하고 종종 그들의 신원이 전혀 드러나지 않는 경우가 많다. 빗썸은 “우리는 신뢰할 수 있는 외부감사를 통해 보유하는 모든 자산에 대해 공정하고 객관적인 실사 검토를 계획하고 있다”며 “이와 함께 KISA와 경찰은 이번 사고에 대해 강도 높은 조사를 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따라서 일시적 예금/탈퇴 서비스 중단 등을 통해 자산을 확인할 필요가 있다”고 덧붙였다. 빗썸은 지난 달 정리해고했다. 지금까지 아무도 이러한 해고와 해킹 사이의 연관성을 밝혀내지 못했지만 그렇게 짧은 시간 안에 일어나는 두 가지 일은 확실히 흥미로운 이론을 만들어 낸다. 누군가는 직업을 잃지만 보안 구조에 대한 지식은 잃지 않는다. 불만을 품은 전직 직원이 눈에 띄는 조직의 보안을 위태롭게 한 것은 이번이 처음은 아니다. 아마도 그 반발에서 살아남기 위한 희망으로 빗썸은 여전히 해킹의 일부가 아니었던 비밀 계좌의 예금과 인출은 물론 원화 예금도 허용하고 있다. 코인마켓캡에 따르면 크기 면에서 빗썸의 자체 보고 물량은 지난 30일 이후 2배 이상 증가했다고 한다. 거래소는 사이트의 조정된 볼륨 순위에 전혀 나타나지 않지만 지난 30일부터 30위에서 26위로 순위를 끌어 올렸다. 한편 빗썸은 고객에게 보낸 전자 메일에서 거래에 관심이 있을 수 있는 글로벌 암호 비율에 주의를 기울이도록 요청한다. 여러가지 요인으로 인해 거래소에 표시된 가격이 왜곡될 수 있다고 밝혔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