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코인뉴스=이창희기자] 미국과 덴마크에 본사를 둔 블록체인 분서고히사인 체인애널리시스의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 몇 년 동안 두 그룹만 10억 달러가 넘는 암호를 도용했다고 밝혔다.
회사가 추적한 거래 및 주소를 기반으로 해커는 해킹당 평균 9천만 달러를 얻었으며 많은 주요 암호화 시장에 유리한 형사상의 운영을 수행했다.
체인애널리시스와 같은 블록체인 애널리틱스 회사는 의심스러운 거래가 거래 플랫폼 시스템에 진입하는 것을 막기 위해 주요 암호 교환 거래를 수행한다.
가령 세계 최대 규모의 암호화폐 거래소 바이낸스는 지난해 10월 체인애널리시스와 제휴해 돈세탁을 해결했다.
거래소의 경우 블록체인 분석 회사와 협력하면 형사 운영과 관련이 있는 거래나 주소를 다루는데 있어 책임이 크게 줄어든다.
비트코인 및 이더리움과 같은 주요 공개 블록체인 네트워크에서 대부분의 트랜잭션을 추적할 수 있지만 범죄 그룹은 트랜잭션과 그 기원을 복잡하게 하는 다양한 방법을 사용한다.
이달 초 뉴질랜드 기반 암호 거래소에서 해킹 당했을 때 바이낸스는 도난 당한 사용자 자금을 즉시 동결할 수 있다.
그러나 최근 연구에서 체인애널리시스가 조사한 두 그룹과 같은 잘 관리된 범죄 조직의 경우 데이터를 제한하는데 환자가 있고 정교한 해커로부터 온 경우 의심스러운 거래를 추적하기가 어렵다.
알파 앤 베타 라는 보고서에 언급된 두 그룹은 당국이 거래를 추적할 수 없도록 하기 위해 자금을 변환하고 세탁하기 위해 평균 112일을 기다리는 것으로 알려졌다.
가령 베타테스트에서는 해킹 공격으로 도난 당한 자금을 인출해 조직을 거래에 연결하는데 사용할 수 있는 증거를 제거하기 위해 거의 2년 동안 기다렸다.
보고서는 “해커는 일반적으로 펀드의 범죄 기원을 위장하기 위해 복잡한 지갑 및 교환을 통해 도난당한 자금을 이동시킨다”며 “해커는 자금 이동을 하지 않는 40일 또는 그 이상의 조용한 기간을 자주 관찰하고 절도에 대한 관심이 사라질 때까지 기다린다”고 말했다.
월스트리트 저널에 체인애널리시스 수석 이코노미스트 필립 그랜드웰은 도난 자금을 단속하는 장소에서 엄격한 고객 파악 및 자금 세탁 방지 정책의 주요 암호화 거래소에도 적용하고 있다고 말했다.
체인애널리시스의 연구원들은 의심스러운 거래가 진행되는 것을 막을 수 있는 유일한 방법은 거래소가 서로 협력하는 것이라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