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코인뉴스=최정민기자] 크라켄은 최근 투명성 보고서에서 지적한 암호화폐 교환과 같은 비법적 법률 비용으로 인해 암호화 기반의 금융 서비스를 미국에서 운영하는 것이 어려워지고 있다고 밝혔다. 미국, 캐나다, 유럽 및 일본에서 추가로 운영되는 암호화폐는 FBI, HIS, CIA, IRS, SEC 및 기타 정부 기관을 포함한 미국 법 집행 기관으로부터 315명의 소환장을 받은 것으로 전해졌다. 비교해 보면 이 회사는 다른 국가로부터 160건의 요청만을 받았으며 미국에서의 핀테크 신생 기업에 대한 법적 비용 증가에 반대하는 사례를 보여줬다. 법적으로 소환장은 개인, 회사가 문서를 작성하도록 명령하거나 소송 절차를 위해 법원에 출두하도록 요청한 것이다. 사법 당국이 잠재적인 사기를 조사할 때 사찰관은 종종 금융 기관에 정보를 요청한다. 이 프로세스는 일반적으로 조사에 도움이 되지만 기관에 더 많은 요청을 하고 마감 기한을 줄인다. 미준수는 벌금, 징역형 또는 두 가지 모두와 같은 민사 또는 형사상의 처벌을 초래한다. 그것은 은행과 암호화폐를 모두 포함하는 기관에 대한 완벽한 폭풍으로 밝혀졌다. 미국 사용자 기반이 모든 고객의 20%에 달하는 클라켄은 많은 기업이 미국 사용자를 차단하는 주요 이유 중 하나는 법률 준수 비용을 비판했다. 거래소는 수사관들이 페타 바이트 데이터를 제출할 때 일반적으로 노력하는 노력의 수를 이해하지 못했다고 불평했다. 특히 기관들이 추구하는 정보가 소수의 거래와 관련돼 있을 때 그러하다. 크라켄 대변인은 “이들이 과세하는 이유 중 일부는 종종 상당한 양의 교육과 앞뒤로 뒤지는 것을 요구한다”며 “우리는 모든 거래에 대한 요청을 받게 될 것인데 실제로는 한 사람에 대해 지난 주의 인출만 필요할 때 페타 바이트의 데이터가 될 수 있다”고 밝혔다. 컴플라이언스 관련 문제가 암호화폐 회사에서 발생하는 번거로움에서 벗어난 것은 이번이 처음은 아니다. 지난해 4월 크라켄의 대표 제시 파웰은 짧은 기간을 한 가지 원인으로 인용해 암호화폐 교환에 관한 뉴욕 검찰 총장 사무실의 질문에 응답을 거부했다. 크라켄은 뉴욕에서 더 이상 운영하지 않는다. 이는 곧 정부의 규제와 또 다른 비용이 암호화폐 산업을 떠나가게 할 수 있다는 뜻으로 해석된다. 암호화폐 산업을 육성하는데 있어 적절한 규제는 필요하지만 이에 따른 수고로움을 이해할 수 없다면 산업 자체가 기반을 옮길 수 있다. 특히 암호화폐 산업을 적극 육성하려는 국가가 늘어나는 추세임을 감안한다면 앞으로 이러한 업체들의 탈출은 줄을 이을 것으로 보인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