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코인뉴스=최정민기자] 홍콩 컨테이너 터미널 운영 업체인 모던 터미널은 머스크와 IBM이 개발한 블록체인 기반의 기술 솔루션인 트레이드랜스 프로젝트에 참여했다.
자사의 보도자료에 따르면 모던 터미널을 기고하는 트레이드 랜즈 생태계는 글로벌 공급망의 프로세스를 디지털화하고 간소화해 효율성과 비용을 낮추려고 노력한다. 발렌시아 포트, PSA 싱가포르, 패트릭 터미널, 핼리팩스 항, 빌바오 항, 포트베이스, 포트커넥트 및 필라델피아 항을 포함해 5개 대륙 234개 선창을 포함해 전 세계 20개 이상의 항만 운영자 및 터미널을 포함한다.
전통적인 공급 체인의 비효율은 지난 10년 동안 수십억 달러의 손실을 초래했다고 라이손은 밝혔다.
트레이드랜스가 나오기 전에 앞서 언급한 대부분의 항만은 주로 손해, 조작 및 철저한 손실에 대한 서류 기록으로 작업하고 있다. 컨테이너 선박은 공급망의 흐름을 방해한 즉각적인 확인을 위해 문서를 보관하고 있어 결국 수동 파일링을 통해 발송 지연 및 오류가 발생한다.
모던 터미널의 그룹 관리이사인 피터 레베스쿠는 SCMP에게 “그것은 별로 좋아보이지 않지만 그렇다”고 말했다. 이어 “블록체인을 사용하지 않으면 문서에 있는 내용이 컨테이너에 있는 것임을 믿을 것이다”고 덧붙였다.
트레이드랜스 솔루션은 시험 가동을 통해 출하 시간이 40% 단축돼 공급망 참가자의 전반적인 경제적 절약 효과가 있다고 주장한다. 디지털 원장을 사용함으로써 참가자는 실시간으로 공급망에 있는 컨테이너의 상태를 브로드 캐스트 할 수 있어 기록이 동시에 변경 가능하고 사용 가능하게 됐다.
머스크의 최고 상업 책임자 빈센트 클레르는 “정보 교환의 안전하고 쉬운 방법을 중립적, 개방형 디지털 플랫폼을 제공에서 잠재력이 거대하다”며 “공급체인에 걸쳐 모든 선수가 수혜받을 수 있다”고 덧붙였다.
모던 터미널은 또한 트레이드랜스 그룹의 포트를 네트워크 멤버로 가입시켜 플랫폼의 성능을 실시간으로 평가한다. 결과에 따라 각 포트는 트레이드랜스가 더 이상 개선될 수 있는지에 대한 제안을 제공할 것이다.
레베스쿠는 “이 이니셔티브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업계에 엄청난 비용 절감 효과를 창출하는 동시에 글로벌 공급망 보안을 강화할 것이다”며 “성배는 한 곳에서 전체를 볼 수 있는 곳이다”고 밝혔다.
머스크와 IBM만이 공급망 관리를 개선하기 위해 블록체인을 사용하는 유일한 회사는 아니다. 싱가포르 소재 회사인 크림슨 로직은 트레이드랜스가 수행하는 것과 거의 동일한 일을 수행하기 위해 글로벌 이트레이드 서비스라는 블록체인 솔루션을 개발 중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