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코인뉴스=최문근기자] 우리나라 최대 전력회사인 한국전력공사는 미래형 마이크로그리드라 불리는 블록체인 기반의 마이크로 그리드를 개발할 계획이라고 발표했다.
김종갑 한전 사장은 18일 웹 사이트에 게시된 발표문에서 정보 공개를 통해 KEPCO Open MG 프레임 워크가 기존 마이크로 그리드 기술의 요소들을 함께 가져올 열린 에너지 공동체를 창안할 것이라고 밝혔다.
한전에 따르면 소형 태양 전지, 풍력 터빈 및 에너지 저장 장치로 구성된 기존의 마이크로 그리드 설정은 최종 사용자에게 안정적인 전력 공급이 어려웠지만 이 문제는 KEPCO Open MG의 연료 전지를 전원으로 사용해 해결할 수 있다.
P2G(Power-to-Gas) 기술을 사용하면 전기가 수소로 변환돼 필요할 때까지 저장할 수 있다. 그러면 연료전지를 사용해 다시 전기로 변환된다. 이것은 기존의 마이크로 그리드와 비교할 때 에너지 독립성과 효율면에서 엄청난 향상을 가져오며 온실 가스도 배출하지 않기 때문에 환경에 좋은 영향을 미친다.
KEPCO Open MG는 이러한 이점 외에도 소위 수소 경제를 뒷받침할 에너지 기반 시설 개발에 핵심적인 역할을 함으로써 경제적 측면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있다.
김 사정은 발표를 인용하면서 “에너지 산업의 세 가지 주요 추세는 탈탄소화, 분권화 및 디지털화다”며 “이 프로젝트를 통해 신 재생 에너지 발전 및 에너지 효율 프로젝트의 속도를 보여줄 것이다”고 말했다.
이어 “우리는 에너지 전환 및 디지털 전환을 주도하는 에너지 플랫폼 제공 업체로서 한걸음 나아갈 것이다”고 덧붙였다.
KEPCO Open MG의 블록체인 유스 케이스에 대한 언급에서 프레임 워크는 운영 효율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쉬운 연결을 가능하게 한다고 발표했다.
블록체인 구현을 사용하면 이제는 다른 마이크로 그리드에 전기를 교환할 수 있어 잠재적으로 마이크로 그리드 성장을 제한하는 기존 시스템 연결 병목 현상을 제거한다.
KEPCO에 따르면 각 마이크로 그리드 제공자가 상호 운용성 문제를 야기하는 서로 다른 기술 표준을 사용했던 이전의 상황과는 달리 KEPCO Open MG는 네트워크 사업자, 고객 및 기타 에너지 이해 관계자들이 시장에 참여하고 서로 이익을 창출할 수 있도록 한다.
이 회사는 KEPCO Open MG 프레임 워크로 세계 최초의 메가 와트의 에너지 독립형 마이크로 그리드를 건설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아직 시스템을 시작하지는 않았지만 한전은 프로젝트가 진행되는 2009년 말에 발표할 예정인 지역을 마이크로 그리드 생태계의 다양한 이해 관계자들과 협의 중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