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성동구가 주민들이 일상 더욱 가까이에서 정원을 누리며 녹색 여가를 즐길 수 있도록 ‘5분 일상정원도시 성동’ 사업을 확대 추진한다고 밝혔다.구는 지난해부터 주민들이 도심 곳곳에서 정원이 주는 힐링과 쉼을 통해 삶의 행복을 더할 수 있도록 ‘일상정원도시’ 조성 사업을 추진 중이다. ‘정원도시 성동 기본계획 수립’ 용역을 시작으로 지난해 4월 `정원문화 조성 및 진흥에 관한 조례`를 제정하여 정원문화 확산을 위한 다양한 정책 추진의 제도적 기반을 마련했다.이어 5월에는 ‘정원도시 선포식’을 개최해 정원도시 성동의 비전과 본격적인 사업 추진의 시작을 알렸다. 이후 성동꽃마루, 한강 시그니처 정원, 마장동 자작나무숲정원 등 29,439㎡ 규모의 총 38개 정원을 조성해 주민 만족을 높였다.올해는 도보 생활권 내 다양한 정원을 조성하여 정원에 대한 접근성을 높이는 한편, 더욱 풍성한 가드닝 프로그램 운영에 주력한다.먼저, 도보 생활권 내 유휴공간을 활용한 22,131㎡ 규모의 일상 정원 30개소를 추가 조성하여 주민들이 일상에서 더욱 쉽게 정원을 만나고 즐길 수 있게 될 전망이다. 이를 위해 ▲ 도심에서 만나는 일상정원 ▲ 활력 있는 수변정원 ▲ 정원을 연결하는 그린로드 ▲ 주민과 함께 만드는 정원문화 등 4가지 핵심 전략을 토대로 다양한 사업 추진에 나선다.정원 접근성과 지역적 균형 모두를 고려해 정원 조성 대상지를 선정했으며, 노약자, 어르신, 어린이를 위한 동행가든과 치유정원을 조성해 소외계층 없이 주민 누구나 이용할 수 있도록 편의를 개선할 방침이다.이에 더하여, 주민들이 곳곳에 조성된 정원을 직접 관리할 수 있도록 정원별로 마을 정원사를 전담 배정하는 한편, 정원 조성에 참여한 전문가에게 사전 교육을 받은 정원사들이 지속적인 정원 관리에 참여하도록 하는 ‘성동 정원 멘토제’를 도입한다. 구는 지난해 자치구에서 가장 많은 총 94명의 마을 정원사를 양성한 바 있다.지난해 12월 개소한 ‘성동 가드닝 센터’를 거점으로 마을정원사 양성, 반려식물 클리닉, 찾아가는 어르신 정원치유 등 주민과 함께하는 가드닝 프로그램도 더욱 풍성하게 운영할 방침이다.정원오 성동구청장은 “올해 ‘5분 일상정원도시 성동’ 조성 사업을 더욱 확대해 주민들이 관내 곳곳에서 정원이 주는 녹색 여가와 행복을 더 가까이, 마음껏 누릴 수 있도록 할 것”이라며, “이에 더하여, 주민 모두가 일상 속 여유를 더하고, 생활 필수 시설을 가깝게 이용할 수 있는 일상생활권 도시 구현을 위해 노력하겠다”라고 말했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