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 한성백제박물관이 2천년 전 백제 왕도 한성의 모습을 디지털로 재현하는 장기 프로젝트에서 중요한 성과를 거뒀다. 박물관은 2021년부터 시작된 ‘백제 왕도 경관 고증·복원 연구’ 프로젝트의 2단계 1차 사업을 완료했다고 밝혔다. 이번 사업을 통해 백제 왕성 일대의 고대 지형과 식생 복원을 위한 기초 데이터를 확보했다. 한성백제박물관이 2021년부터 진행 중인 ‘백제 왕도 경관 고증·복원 연구’는 백제 왕궁이 있었던 성곽 지역의 구조와 면모를 복원하는 것이 목표다. 1단계(2021~2023) 사업을 통해 왕릉지구의 경관을 디지털로 구현하는데 성공한 바 있다. 2024년에 추진된 2단계 사업에서는 분석 지역을 왕릉지구에서 왕성지역(풍납동토성과 몽촌토성)으로 확장했다. 2단계 사업은 총 1~3차로 나누어 단계적으로 진행할 예정으로 이번에 완료한 1차 사업을 통해 풍납동 토성과 몽촌토성 일대의 옛 지형과 식생을 확인하는 데 성공했다. 특히 이번 2단계 1차 사업에서는 2000년대 이전의 항공사진과 지형도를 분석하여 당시의 지형과 물길을 파악했다. 또한 성곽 주변의 구릉과 평지, 계곡의 위치를 확인했으며 특히 남북, 동서, 북서·남동 방향으로 뻗은 3개의 주요 능선과 북문, 남문, 동문 주변의 지형을 밝혀냈다. 왕릉 주변의 육성지형은 구릉지형과 산록경사지형으로 구분되고, 충적지형은 곡간지형과 평탄지형으로 구분됐던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남북 ▴동서 ▴북서·남동 능선의 3개 주요 구릉 능선을 확인했고, 북문지, 남문지, 동문지 일대에 곡간지형이 존재했던 것을 밝혀냈다. 또한 몽촌토성 발굴 현장에서 발견된 꽃가루와 씨앗을 분석해 당시 이 지역에 자랐던 식물들도 확인했다. 소나무, 버드나무, 참나무 같은 나무들과 쌀, 잡곡, 복숭아 등의 재배 작물의 흔적이 발견됐으며 이를 3차원 디지털 모델(3D 에셋)로 구현하는데 성공했다. 이번 연구는 국립경주문화유산연구소, 서울대학교 동물·식물·인골연구실 등과 협력하여 진행됐다. 한성백제박물관은 이번 조사 결과를 토대로 2차 사업을 진행, 2025년까지 왕궁·관청·도로 등 왕성 내부 시설물을 고증하고 2026년까지 전체 연구 성과를 종합한 실감형 복원 영상을 제작할 계획이다. 김지연 한성백제박물관장은 “박물관이 장기 과제로 추진 중인 ‘백제왕도 경관 고증·복원 연구’ 사업은 2천년 전 왕도 한성의 모습을 구체적으로 만나볼 기회가 될 것”이라며 “앞으로도 왕도 한성의 경관 복원을 위해 여러 학문 분야와의 융합 연구와 고증을 계속해서 이어 나가겠다”고 말했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