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한 삶을 위해서는 수면의 질을 높이는게 중요하다. 건강한 수면을 방해하는 요인은 다양하지만 그중 폐쇄성 수면무호흡증이 있는건 아닌지 확인해봐야 한다.
폐쇄성 수면무호흡증은 비만, 고령화 등으로 인해서 나타나게 되는 질환이다. 수면 중 상부 기도가 반복적으로 막히는 바람에 숨을 못 쉬고 잠에서 깨는 질환을 말한다. 낮에는 숨쉬는데 큰 문제가 없다. 하지만 잠에 들면 숨이 막혀 컥컥 대는 증상을 보인다.
수면 중 혀 뿌리가 있는 상기도가 좁아지거나 막히면서 10초 이상 숨이 멈추는 수면 무호흡이나 숨을 얕게 쉬는 수면 저호흡 증상이 한 시간 동안 5회 이상 나타나게 되면 수면 무호흡증에 해당한다고 보고 있다.
이를 가지고 있을 경우 지속적인 양압술을 이용해 1차적으로 치료에 나선다. 하지만 순응도가 10~50%로 떨어지는 경우가 존재한다. 이런 경우 구강 내 장치와 교정 장치를 이용하는 시술이나 수술적 치료도 고려해야 한다.
대체로 구강 내 장치는 수면 시 입안 치아에 착용하는 장치를 의미한다. 아래턱을 앞으로 빼 좁은 기도 공간을 넓히고 잘 때 기도를 막는 혀를 전방으로 내밀도록 해 기도를 넓힌다. 이를 통해 폐쇄성 수면무효흡증을 치료한다. 다만 심장 질환, 호흡기 질환, 만성 전신 질환 등이 있는 경우에는 사용이 제한된다.
하지만 심한 수면 무호흡증을 가지고 있을 경우 수술을 해야 할 수 있다. 이 경우 양악전진술과 같은 방식으로 진행하기도 한다. 다만 이에 대한 판단은 의료진의 도움을 받아야 한다. 편안한 잠자리를 위해서라도 살펴보는게 좋다.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