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 번 발병하면 좋지 않은 모습을 보이게 되는게 바로 뇌졸중이다. 이는 시니어에게는 많은 위협이 되는 사안이다. 따라서 평소 예방을 잘해야 한다.
뇌졸중은 뇌혈관이 막히거나 터져 뇌가 손상되는 질환을 말한다. 2017년 질병관리본부 통계에 따르면 뇌졸중 환자는 9~10월 많이 발생한 것으로 나타났다. 아무래도 가을바람이 쌀쌀해지면서 교감 신경을 자극, 체온 보존을 위해 혈관을 수축하다 보니 발생한다.
심장이 평소보다 강한 힘으로 혈액을 밀어내면 혈압이 급격하게 올라간다. 이로 인해 혈관이 막히거나 터져 뇌졸중이 발생할 수 있다. 건강한 사람에게는 일시적 혈압 상승이 큰 문제가 안된다. 하지만 고혈압이나 당뇨병 등 위험 인자를 보유한 환자 또는 시니어와 같은 고령자는 특히 조심해야 한다.
그렇다면 뇌졸중을 어떻게 알아챌 수 있을까. 대부분 뇌졸중이 갑작스레 찾아오는 질환이라고 여긴다. 하지만 전조 증상이 여럿 있다. 얼굴에 미소를 지어 입꼬리가 모두 올라가는지부터 확인해야 한다.
양팔을 같은 높이로 들고 앞뒤로 돌리다가 점차 속도를 내보는 것도 좋다. 이때 뇌졸중으로 마비된 쪽은 속도가 현저하게 느려진다. 평소 몸이 한쪽으로 기울고 넘어지거나 수저질을 못하고 숟가락을 떨어뜨린다면 뇌졸중을 의심해봐야 한다.
짧은 문장을 주고 받으며 대화하다 혀가 꼬이거나 발음이 어눌한지도 확인해야 한다. 만약 세 가지 테스트 중 하나라도 해당되면 즉각 병원으로 가야 한다. 뇌졸중 골든타임은 3시간이다.
코를 고는 경우에도 뇌졸중 발생 확률이 높다 단순히 코를 고는 게 문제가 아니다. 코를 골면서 발생하는 수면 무호흡의 유무가 중요하다. 이는 수면 중 호흡 정지가 빈번하게 발생하는 증상이다. 목젖이 막히거나 호흡 중추가 마비, 무산소증을 유발한다.
코골이에 수면무호흡증이 동반되면 수술만으로는 만족할만한 치료를 하기 어렵다. 이 경우 코골이를 줄일 수 있는 방법을 고려해봐야 한다.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