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 19 팬데믹으로 청년층에서 음주량이 크게 늘었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미국 뉴욕 대학교 연구진이 지난해 3~4월 실시한 음주에 관한 온라인 설문 조사 결과 40세 미만 청년 응답자 중 40%가 팬데믹 전보다 음주량이 늘어다고 답했다.
40~59세에서 30%, 60세 이상은 20%가 술을 더 마신다고 답했다. 팬데믹 전부터 정신 건강에 문제가 있었던 이들은 더 위험했다. 우울 증상이 있는 이들의 64%, 불안 증상이 있는 사람의 41%가 음주량이 늘었다.
아리드나 카파소 연구원은 “특히 정신 건강에 문제가 있는 이들에게 팬데믹은 음주라는 유행병을 촉발하는 계기로 작용한다”고 지적했다.
사람들이 스트레스와 트라우마를 유발하는 사건에 술로 대처하는 것은 드문 일이 아니다. 2001년 ‘911테러’ 때 뉴욕 시민 25%의 음주량이 증가했다. 이번 연구에서 전체 연령 평균치는 29%로 911테러보다 높다.
감염에 대한 불안, 사회적 거리 두기로 인한 고립감, 경제적인 곤경 등 스트레스가 얼마나 컸는지 가늠해볼 수 있다.
우리나라의 경우에도 비슷한 상황인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은행 통계에 따르면 지난해 국민들이 술과 담배에 쓴 돈이 통계 작성 이후 50년 만에 최대 폭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한편 코로나로 인해 분노가 일어나는 경우도 많이 나타나 특히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는 게 전문가의 설명이다.
팬데믹과 앵그리의 합성엉인 팽그리가 새롭게 탄생했을만큼 코로나19와 팬데믹 때문에 화가 난다는 사람이 많이 나타나고 있다. 오랫동안 고향 방문을 못하고 있거나 재정적인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경우, 침체된 사회적 분위기로 우울한 것을 넘어 화가 난다는 사람이 많다.
일부 사람들은 마스크 착용하거나 사회적 거리두기를 소홀히 하는 사람에게 화를 느끼기도 한다. 자신은 방역수칙을 지키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코로나19를 가볍게 생각하는 사람도 존재한다는 사실에 화가 난다는 것이다.
지난 1년간 전 세계적으로 1억 명 가까운 사람들이 코로나19 확진 판정을 받았다. 대부분은 무증상이나 경미한 증상에 그치지만 사망자도 200만 명을 넘어선 상태라는 점에서 코로나19는 결코 가볍게 넘길 수 없는 감염병이다.
따라서 화가 나는 것을 억지로 누르기 보다는 이 같은 감정을 인정하는게 좋다. 화를 공격적 혹은 폭력적으로 분출하는게 아니라 자연스럽게 받아들이는 것이 감정을 평온하게 하는데 필요한 자세다.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