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방청은 지난해 119구급대가 276만6069건 출동하고 162만1804명의 환자를 응급처치해 병원으로 이송했다고 지난 13일 밝혔다.
하루 평균 7578건 출동으로 4443명을 이송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10년전에 비해 출동건수는 36%, 이송인원은 11.6% 증가한 수치다. 다만 코로나19의 전국적 확산으로 2019년 대비 출동건수는 5.6%, 이송인원은 12.8% 각각 감소했다.
구급이송환자는 2019년보다 감소했지만 신속한 처치가 필요한 4대 중증응급환자 이송은 오히려 4% 증가했다. 특히 뇧혈관계질환자 이송은 26.8%가 증가했다.
4대 중증응급환자의 질환 비율은 심혈관계질환이 44.2%로 가장 많았다. 이어 뇌혈관계질환 39.2%, 심정지 11.4%, 중증외상 5.3% 순으로 나타났다.
시도별 구급이송인원은 경기도가 37만1531명으로 가장 많았으며 전체 이송인원의 23%를 차지했다. 서울이 27만6466명, 부산이 9만7780명으로 그 뒤를 이었다.
지역별 인구대비 구급차 이용률은 지난 해 국민 32명 당 한 명이 구급차를 이용한 것으로 나타났다. 제주지역이 20명 당 한 명 꼴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울산지역이 40명 당 한 명 꼴로 가장 낮았다.
월별 이송인원은 월평균 13만5150명으로 나타났다. 겨울철인 1월이 15만2576명으로 이송이 가장 많았으며 3월이 11만5662명으로 가장 적게 나타난 수치다.
요일별로는 월요일이 24만 6057명으로 응급환자 이송인원이 가장 많았으며 일요일이 22만 670명으로 가장 적게 나타났다.
시간대별 환자 발생은 오전 8~11시가 27만 8714명으로 가장 많았다. 새벽 3~6시는 10만8573명으로 가장 적은 숫자를 기록했다.
연령대별로는 60대가 26만7720명, 50대가 26만2090명, 70대가 26만1855명 순으로 장노년층 환자가 많이 나타났다.
이송환자 유형은 질병환자가 103만321명으로 가장 많았으며 사고 부상 등 외상성 손상환자 52만 70명, 주취 및 중독 등 비외상성 손상환자가 4만799명 순으로 나타났다.
소방청은 “앞으로도 구급 인력을 지속적으로 충원하고 전문교육과정을 확대할 계획”이라며 “구급 대원의 응급처치 범위 확대를 제도화해 중증응급환자 소생률을 높이는데 노력하겠다”고 강조했다.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