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영국과 남아프리카공화국 등 해외발 코로나19 바이러스 변종이 국내에 유입되면서 바이러스 전파가 더욱 거세질 가능성이 우려되고 있다. 해당 변이 바이러스들은 기존 바이러스보다 전파력이 강한 것으로 보고되고 있기 때문이다. 이로 인해 보건당국은 해외 입국자에 대한 방역 조치를 더욱 강화한다고 밝혔다. 치명률은 기존 바이러스와 비슷하거나 낮지만 전파 속도가 빨라지면 그만큼 위중증 환자수가 늘어날 가능성은 높아지기 때문이다. 그렇다면 코로나19 백신 접종을 받은 입국자는 안심해도 될까. 입국 후 격리조치를 따르지 않아도 될까. 세계보건기구 수석 과학자였던 숨야 스와미나탄 박사는 백신 접종을 받은 여행객도 격리생활이 필요하다고 조언했다. 미국, 영국 등에서 긴급사용승인을 받은 코로나 백신은 대규모 임상으로 안전성과 효과성을 확인했다. 하지만 감염을 예방할 수 있다는 충분한 근거가 도출된 것은 아니기 때문이라는 설명이다. 스와미나탄 박사는 지난달 21일 브리핑을 통해 백신이 전염을 막을 것이라고 자신할 만큼의 근거가 확보됐다고 생각하진 않는다고 밝혔다.  백신을 접종받은 사람도 결국 집단 면역이 형성될 때까지 방역수칙을 따라야 한다고 강조했다. 백신을 개발한 제약사의 입장도 마찬가지다. 모더나의 최고의료책임자인 탈 잭스는 백신이 감염을 막는 효과가 있으리라 믿고 있지만 이를 뒷받침할 충분하고 구체적인 데이터가 나올 때까지 주의가 필요하다고 당부했다. 백신 접종을 받은 뒤에도 행동수칙을 잘 지켜야 한다는 것이다. 현재 백신 접종을 시행하고 있는 나라에서 접종을 받은 사람들은 대부분 1회 접종에 그친 상태라는 점에서도 주의가 필요하다. 백신 임상 결과에 따르면 백신은 2회 접종을 모두 완료한 뒤 예방 효과를 볼 수 있다. 따라서 1회 접종만으로는 충분한 면역력이 형성되지 않는다. 한편 우리나라는 아스트라제네카 백신을 2월말부터 접종할 계획을 가지고 있다. 지난 4일 식품의약품안전처는 백신 품목허가 신청을 받아 심사에 착수했다. 보건당국은 품목허가와 국가 출하승인 절차를 신속하게 완료하겠다고 밝혔다. 식약처는 180일 넘게 걸리는 허가 심사를 40일 이내로 단축해 오는 2월 말부터는 접종을 시작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댓글0
로그인후 이용가능합니다.
0/150
등록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이름 *
비밀번호 *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복구할 수 없습니다을 통해
삭제하시겠습니까?
비밀번호 *
  • 추천순
  • 최신순
  • 과거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