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에서 회복한 사람의 면역력이 최소 8개월 이상 장기간 유지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호주 모내시대학교 면역 및 병리학과 연구팀이 코로나19 환자 면역체계 내의 기억 세포에 대해 연구를 진행한 결과다. 미래의 감염에 대해 내구성이 있는 면역력을 얻을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전의 연구에서는 코로나바이러스 항체의 첫 번째 파동이 처음 몇 달 후에 감소하는 경향이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코로나19 환자들이 회복되면 면역력이 빠르게 떨어질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돼 왔다.
연구팀은 코로나19 환자 25명을 대상으로 이들에게서 채취한 36개의 혈액 샘플을 분석했다. 항체 수치가 실제로 증상이 시작된 지 20일 후에 현저히 감소한다는 것을 발견했다.
그러나 기억 세포 수치는 150일 동안 계속 상승했다. 이는 신체가 향후 감염에 직면했을 때 신속하게 바이러스 특이 항체를 만들어 낼 수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
인체가 감염을 성공적으로 막아내고 나면 방어의 일부였던 면역세포가 방금 싸운 바이러스나 세균을 기억하는 기억 세포로 전환된다. 이 세포는 오랫동안 몸속에 살면서 면역체계가 같은 병원균으로부터 오는 어떤 미래의 감염도 물리칠 수 있는 청사진을 제공한다.
연구팀에 따르면 코로나19 관련 기억 세포는 증상 발생 후 242일 후에 채취한 샘플에서 발견된 것으로 나타났다.
미국 밴더빌트 메디컬센터 감염병학과 교수인 윌리엄 샤프너 박사는 “우리가 일단 감염을 경험하게 되면 우리의 면역 반응은 코로나19 이질성을 인식하고 메커니즘을 세우기 때문에 우리가 두 번째 바이러스에 노출될 경우 매우 빠르게 반응할 수 있을 것이라는 것을 암시한다”고 밝혔다.
이어 “이번 연구 결과는 면역력이 얼마나 오랫동안 지속되는지는 정확하게 알 수 없지만 지금까지 2차 감염이 기록된 것이 매우 드물다는 사실과 일치한다”고 덧붙였다.
연구팀의 메노 반 젤름 박사는 “이번 발견은 코로나19 백신이 지속적인 면역력을 창출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고 강조했다.
한편 코로나19 백신 접종이 국가별로 본격적으로 시작되고 있다. 이를 통해 집단 면역을 형성, 코로나19로부터 벗어날 계획을 실행하고 있다.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