겨울 제철 수산물을 먹는 재미에 빠져 있던 A씨는 갑자기 오한, 구토, 설사 등 장염 증상이 나타나 한밤중 응급실에 실려가는 날이 벌어졌다. 겨울철 기승을 부리는 노로바이러스 때문이다. 노로바이러스는 급성 위장염 증상을 일으키는 바이러스의 한 종류로 여타 식중독과 달리 겨울철에 집중 발생하는 것이 특징이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 통계에 따르면 기온이 저하되는 12월, 1월에 노로바이러스 감염이 급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노로바이러스는 생굴, 조개, 회 등 익히지 않은 어패류나 수산물을 먹었을 때, 오염된 물을 마셨을 때, 사람 간의 직간접적인 접촉에 의해 감염될 수 있다. 전염성이 높은 만큼 겨울철에 학교나 병언, 어린이집에서 집단 식중독 발생은 노로 바이러스가 원인인 경우가 많다. 노로바이러스에 감염되면 보통 하루에서 이틀 가량 잠복기를 거쳐 구토, 설사, 오한, 발열 등의 증상이 나타날 수 있다. 건강한 성인이라면 수일 내에 특별한 치료 없이 나아지지만 복통이나 발열이 심한 경우 진통제, 지사제를 투여해 증상을 완화하기도 한다. 탈수 증상 동반 시 수액치료를 병행한다. 단 바이러스 감염에 취약한 고령자나 유아는 토사물에 의한 질식, 흡인성 폐렴 등 심각한 합병증으로까지 이어질 위험이 있어 의료진의 판단에 따라 입원치료를 권한다. 노로바이러스는 화장실 사용 및 식품 섭취 전후 흐르는 물에 비누로 30초 이상 손 씻기, 굴과 생선, 조개 등 어패류, 해산물은 날 것으로 먹지 않고 85도 이상 온도에서 1분 이상 가열하기, 조리 도구 사용 후 열탕 또는 염소 소독하기 등을 통해 예방할 수 있다. 만약 이미 감염된 경우라면 다른 사람에게 전파하지 않도록 집단 생활을 피하고 수분을 충분히 보충해 탈수를 사전에 방지하는 게 바람직하다. 전문가는 “추운 날씨로 인해 외부에 음식물을 보관해도 괜찮겠지 방심했다가 오염으로 이어진다”며 “이로 인해 노로바이러스에 감염되는 사람이 적지 않다”고 밝혔다. 이어 “환자와 접촉만으로 노로바이러스에 감염될 수 있다”며 “면역력이 약한 노약자나 어린이, 임산부, 만성질환자가 있는 가정에서는 개인위생 및 음식물 조리, 관리에 철저해야 한다”고 당부했다. 따라서 겨울에도 식중독 위험이 있는 만큼 전염성이 높은 노로바이러스를 주의해야 한다. 되도록 음식을 방심하지 않고 관리에 신경써야 한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댓글0
로그인후 이용가능합니다.
0/150
등록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이름 *
비밀번호 *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복구할 수 없습니다을 통해
삭제하시겠습니까?
비밀번호 *
  • 추천순
  • 최신순
  • 과거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