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 환자들은 뇌가 뿌옇게 변한 듯 멍해져 기억력이 떨어지는 뇌 안개 현상을 겪거나 온몸에서 무력감, 인지기능이 뚝 떨어졌다고 호소하곤 한다. 코로나19 감염이 이 같은 뇌증세를 일으킨다는 것은 속속 알려졌지만 이유는 몰랐다. 그러나 코로나 바이러스가 뇌의 보안시스템을 뚫고 뇌 안으로 침투했기 때문임을 알려주는 실험 결과가 나왔다. 미 워싱턴 의대 월리엄 A 뱅크스 교수팀은 코로나19 바이러스의 스파이크 단백질이 혈관- 뇌 장벽을 통과한다는 사실을 쥐 실험을 통해서 확인했다고 네이처 뉴로사이언스 최신호에 발표했다. 스파이크 단백질은 S1 단백질로도 불리며 코로나19 바이러스 바깥에 신발의 스파이크처럼 울퉁불퉁 튀어나온 부위다. 숙주 세포의 암호문에 밀착해 문을 여는 열쇠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화이자-바이오엔테크와 모더나의 mRNA 백신은 모두 스파이크 단백질을 지질에 싸서 인체에 주입, 면역계가 적군의 침투를 알아채 공격하도록 하는 백신이다. 또한 혈관-뇌장벽은 혈관으로부터 세균, 바이러스, 독소 등이 함부로 들어가지 못하도록 만들어진 정교한 요새다. 스파이크 단백질이 이 요새의 비밀 암호 시스템을 무력화해서 침투할 수 있다는 것이 이번에 밝혀진 것이다. 연구진에 따르면 S1 단백질이 요새의 보안시스템을 뚫고 뇌에 침투하면 뇌에서 비상이 걸린다. 이로 인해 면역조절물질인 사이토카인과 각종 면역물질이 쏟아져 면역 반응이 일어난다. 뇌에서 일종의 사이토카인 폭풍이 일어나 뇌 안개, 피로, 인지장애 등이 일어난다는 것이다. 뱅크스 팀의 연구원 15명은 올 봄까지 에이즈, 치매, 당뇨병, 비만 등과 뇌와의 관계를 연구하다가 4월 다른 연구를 중단하고 코로나19 실험에 매달렸다. 이로 인해 이 같은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뱅크스 교수는 “코로나 바이러스는 후천성면역결핍증을 일으키는 인간면역결핍바이러스의 데자뷔 같았다”고 밝혔다. 그는 S1 단백질과 HIV의 gp120 단백질은 둘 다 당분이 많은 글리코 단백질이고 다른 곳에 침투하는 열쇠 역할을 한다.  혈관- 뇌자벽을 통과해 뇌 조직에 독소로 작용하는 등 쌍둥이처럼 비슷한 모습을 보였다. 뱅크스는 “이 연구가 코로나19의 많은 합병증을 설명할 수도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가령 코로나19 환자가 호흡곤란을 느끼는 것은 폐에 바이러스가 직접 침투해서일 수도 있지만 뇌의 호흡기 중추에 침범한 결과일 수 있다. 후각 기능을 상실하는 것은 바이러스가 뇌 후각망울을 교란시킨 결과일 수 있다는 것이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댓글0
로그인후 이용가능합니다.
0/150
등록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이름 *
비밀번호 *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복구할 수 없습니다을 통해
삭제하시겠습니까?
비밀번호 *
  • 추천순
  • 최신순
  • 과거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