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 확산이 1년을 넘어가면서 손씻기는 이제 선택이 아니라 필수가 되고 있다. 전문가는 손씻기는 감염을 막을 수 있는 가장 간단하고도 효과적인 방법이라고 입을 모으고 있다. 그러나 하루에도 여러 차례 손씻기와 손소독제에 노출되면서 피부는 쉽게 건조해질 수 있다.
원래도 건조한 손 피부를 가지고 있던 이들이라면 잦은 손씻기로 피부 상태가 급격히 악화될 수 있다. 그러나 미국 건강 매체 우먼헬스에 따르면 전문가는 몇 가지 원칙만 제대로 지켜도 위생과 피부를 모두 지키면서 코로나19 시대를 이겨나갈 수 있다고 조언한다.
먼저 뜨거운 물로 씻지 않아야 한다. 많은 사람이 깨끗한 손씻기를 위해서는 물의 온도가 높은 것이 좋다고 생각한다. 그러나 전문가는 물의 온도는 손의 위생을 지키는 데 별다른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고 지적한다.
워싱턴 의과대학의 마이클 조슈아 헨드릭스 교수는 오염되지 않는 깨끗한 물로 씻기만 한다면 비누만으로도 충분히 손에 묻은 세균과 바이러스를 제거할 수 있다고 강조한다. 다만 물의 온도가 지나치게 높은 경우 피부가 건조해질 우려가 있기 때문에 높은 온도의 물로 자주 손을 씻는 것은 피해야 한다.
뜨거운 물은 피부의 피지와 함께 보습막도 벗겨지게 하기 때문이다. 추운 겨울에는 뜨거운 물로 손을 씻게되는 경우가 많다. 그러나 요즘처럼 손씻기의 횟수가 많이 늘어났을 때는 물의 온도를 적정하게 유지하는 데 신경써야 건조함으로 인한 피부 손상을 막을 수 있다.
씻을 때마다 보습제는 필수다. 손을 씻고 나면 수분이 날아가면서 피부가 건조하고 팽팽하게 당겨지는 느낌이 난다. 비누나 손소독제가 유분을 포함하고 있는 보습막을 벗겨내기 때문이다.
피부과 전문의 다나 스턴 박사는 피부 세포는 벽돌과 비슷하다고 볼 수 있다고 봤다. 콜레스테롤과 세라미드를 비롯한 다양한 성분이 세포를 함께 묶어 장벽을 형성하고 있다.
스턴 박사는 손씻기로 인한 피부 손상을 피하고 싶다면 귀찮아도 매번 보습해주는 것이 필수적이라고 지적한다. 보습제를 고를 때는 천연 피부보습막을 이루는 성분과 비슷한 세리미드 혹은 이루는 히알루론산 등 성분이 함유된 것이 좋다.
향이 지나치게 진하거나 염료가 포함된 제품은 피부에 오히려 손상을 입을 수 있다는 점에서 피해야 한다.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