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 감염 후 심장근육에 염증이 생기는 심근염 사례가 보고되면서 이에 대한 주의가 필요하다. 전문가는 운동을 좋아하는 사람이라면 회복 후 다시 신체활동을 시작할 때 주의해야 한다고 조언한다.
심근염이 있는 상태에서 운동을 하게 되면 심장박동이 불규칙해지고 심장 돌연사에 이를 위험이 있다. 이에 지난 5일 미국 스포츠의학협회와 정형외과학회 등이 주최한 컨퍼런스에서 코로나19 감염과 심근염, 운동 사이의 관계가 집중적으로 다뤄졌다.
해당 컨퍼런스에서 전문가는 운동선수나 취미로 운동을 즐기는 사람들은 특히 코로나19 감염에서 회복한 이후 신중하고 조심스럽게 신체활동에 접근할 필요가 있다고 봤다. 본격적으로 스포츠 활동에 복귀하기 전 심혈관 건강 상태를 검사하고 모니터링하는 것이 좋겠다는 설명이다.
단 중증도에서 중증 수준의 중상을 경험했던 환자에 한해 검사가 필요하다. 미국심장학회는 중등도에서 중증의 코로나19 감염 증상을 보였다가 회복한 운동선수는 심전도, 초음파 심전도, 트로포닌 혈액검사 등을 통해 심장 건강을 체크하고 전문의 상담을 거쳐 우동 복귀 시점과 운동 강도와 운동량 등을 결정할 것을 권고한다.
또한 무증상 감염에 그쳤거나 경증에 머물렀던 사람은 회복 후 굳이 심장 검사를 받을 필요가 없다고 본다. 경증은 두통, 미각과 후각 상실, 기침, 인후통 등 증상이 나타난 것을 의미한다. 지속되는 발열, 오한, 심각한 피로감, 폐렴, 가슴 통증 등은 경증에 해당하지 않는다.
심장 손상의 경우 코로나19 감염으로 입원 치료까지 받은 환자에게 제법 흔하게 나타난다. 하지만 대부분 호흡기 질환 여부를 살필 뿐, 심장 건강은 돌보지 않는 경향을 보인다. 하지만 전문가는 코로나19 증상이 심각했던 환자일수록 심장 손상을 입을 위험이 높기 때문에 호흡기 외에도 심혈관 건강을 살펴보는 것이 좋다고 본다.
심장 검사로 확인된 결과가 모두 코로나19와 연관이 있다는 의미는 아니다. 심전도 검사에서 나타난 징후가 사실은 정상적인 생리학적 변화일 수 있다. 심장 손상 여부를 파악하는 단백질인 트로포닌 검사 수치 상승이 강도 높은 운동 후 나타난 변화일 수도 있다.
따라서 무증상이나 경증 수준의 증상에 머물렀던 사람은 굳이 심장 검사까지 받을 이유는 없다. 중등 이상의 증상을 경험한 사람 중 코로나19 감염 전에도 심장 건강에 문제를 경험했거나 당뇨처럼 심장 건강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기저 질환이 있다면 검사를 고려해야할 수 있다.
따라서 자신의 몸 상태를 잘 살피고 건강한 상태를 유지하는게 중요하다. 또한 가슴통증이나 두근거림 등을 경험한다면 검사를 진행해야 한다.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