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 코로나19를 앓았던 사람도 백신을 맞는게 좋다는 전문가의 권고가 나왔다. 코로나19 바이러스에 대한 면역력이 영구적이지 않기 때문이다. 미 UPI 통신은 로체스터 메이요 클리닉의 그레고리 폴란드 박사의 말을 인용해 일반 감기를 일으키는 다른 코로나 바이러스의 경우 한 번 감염된 후 짧게는 수개월이 지나면 면역력이 사라진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감기에 걸렸던 사람이 그후로도 자꾸 걸리기 때문에 코로나19 백신도 이에 맞춰 맞아야 한다고 밝혔다. 전문가는 특히 코로나19에 감염됐으나 무증상이거나 경증으로 앓고 지나간 사람은 면역 능력을 제대로 형성하지 못했을 가능성이 크다고 지적했다. 밴더빌트 대학교의 감염병 전문가 윌리엄 샤프너 교수는 “백신으로 생기는 면역력이 자연적인 감염으로 생기는 것보다 더 오래갈 수 있다”며 “감염 경력이 있는 사람도 백신을 맞는게 좋다”고 권했다. 존스홉킨스대학교 보건안전센터 아메시 아달자 교수는 “자연 감염으로 일정 기간 면역력이 생길 수 있지만 개인차가 커 안정적으로 예측하기 어렵다”며 “최근 90일 이내에 감염됐던 사람은 백신을 다소 늦게 접종할 순 있겠으나 안 맞아도 된다고 여겨서는 안된다”고 강조했다. 아달자 교수는 화이자와 모더나 백신의 임상시험에는 기감염자도 참여했으며 조만간 백신이 그들의 면역력 강화에 어떤 도움을 줬는지 분석 결과가 나올 예정이다. 다만 아직은 결과가 나오기 전까지는 백신 접종을 유의하는게 좋다. 특히 코로나19 감염 후 회복 과정에서 오랫동안 후유증을 겪고 있는 사람은 특히 백신 접종에 신중을 가할 필요가 있다. 이미 공격적으로 일어나고 있는 면역반응을 더욱 심화시킬 우려가 크다. 이로 인해 피로, 근육통, 심계항진, 수면장애 등을 일으킬 수 있다. 또한 감염 후 회복한 경우에도 면역력이 생길 수 있지만 수년간 지속될지 여부는 알 수 없다. 따라서 이에 대한 추가 연구가 끝나기 전까지는 이를 맞지 않아야 한다는 전문가의 의견도 존재한다. 한편 우리나라는 본격적인 백신 접종 여부는 내년 초에 결정될 계획이다. 신중을 가하겠다는 것으로 앞으로의 확진자 추세에 따라 달라질 것으로 보인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댓글0
로그인후 이용가능합니다.
0/150
등록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이름 *
비밀번호 *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복구할 수 없습니다을 통해
삭제하시겠습니까?
비밀번호 *
  • 추천순
  • 최신순
  • 과거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