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는 5일 오후 9시를 기해 마트와 독서실, 미용실 등 일반 관리시설의 영업시간을 제한하기로 했다. 대중교통의 야간운행 30% 감축도 빨리 이뤄져 오후 9시로 1시간 앞당겨 시행한다.
서정협 서울시장 권한대행은 지난 4일 온라인 긴급브리핑을 통해 이 같은 내용의 거리두기 강화 방안을 발표하면서 오는 18일까지 2주 동안 2단계에서 한층 강화한 방역조치에 들어간다고 밝혔다.
이 같은 조치에 따라 영화관과 PC방, 오락실, 독서실, 스터디카페, 놀이공원, 이미용원, 마트, 백화점 등 일반 관리시설은 오후 9시 이후 모두 문 닫아야 한다. 다만 시민들이 생필품을 구입할 수 있도록 300㎡미만의 소규모 편의점 운영과 음식점의 포장, 배달을 허용했다.
독서실과 교습소, 입시학원 2036곳을 포함해 2만5000곳의 학원, 독서실, 스터디카페도 오후 9시 이후 운영을 중단해야 한다.
시는 학원 등의 오후 9시 이전 수업도 온라인 전환을 강력히 권고하기로 했다. 또한 대중교통의 야간 30% 감축 운행도 시내버스의 경우 5일부터, 지하철은 8일부터 오후9시로 1시간 앞당겨 시행한다.
지난 달 24일부터 서울시는 유흥시설에 대한 집합금지 명령을 내렸다. 오후 9시 이후 음식점, 카페, 실내 체육시설, 아파트 내 헬스장 등 편의시설을 포함한 중점 관리시설의 운영을 중단하기도 했다.
또한 서울시와 자치구, 투자출연기관 산하 도서관, 박물관, 공연장 등 공공 이용시설의 운영을 시간과 관계없이 전면 중단키로 했다. 하지만 사회복지시설은 돌봄 유지를 위해 일부만 운영하기로 했다.
서울지역 국공립시설도 같은 조치가 적용되도록 정부에 요청하기로 했다. 시는 자치구와 산하기관 등에서 8일부터 2분의1 재택근무와 시차출퇴근제를 시행하기로 했다. 민간 부문도 이 같은 기준에 다라 동참하도록 서울상공회의소와 중소기업중앙회에 협조를 구한다.
서정협 권한대행은 “생업에 필요한 최소한의 활동을 제외한 이동과 활동을 중단하는 선제적 긴급조치”라며 “전반적인 경제사회 활동이 마무리되는 밤 9시를 기준으로 도시의 불을 끄겠다”고 밝혔다.
이번 조치는 2주 내 서울의 일평균 확진자를 100명 미만으로 낮추는 것이라고 설명하기도 했다.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