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람이나 화물을 실어 나르는 과정에서 운수사고나 추락, 미끄러짐 등으로 인해 심각한 외상 환자가 연 3만 명에 이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 5명 중 1명은 사망에 이르게 된다.
질병관리청은 지난 2일 발표한 2018년 중증외상 현황에 따르면 2018년 발생한 중증외상 현황에 따르면 2018년 발생한 중증 외상 환자는 총 3만2237명이다.
중증외상은 운수사고, 추락, 미끄러짐 등으로 인한 외상 환자가 저혈압, 의식저하, 호흡이상 상태를 보이거나 구급대원이 소방청 병원전단계 중증 외상 선별기준에 근거 중증외상으로 판단한 경우를 말한다.
성별로는 남자가 2만 2148명으로 여자 1만 84명보다 더 많았다. 연령별로는 50대가 5924명으로 가장 많이 발생한 것으로 나타났다. 시도별로는 서울과 경기에서 다수의 중증외상 환자가 발생한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인구 10만 명 당 환자 수는 충북 127.4명, 대전 115.7명, 강원 102.6명 순이었다. 환자가 이송된 병원의 의무 기록에 따르면 주요발생 원인은 운수사고가 46.7%로 기록됐다. 다음으로 추락 및 낙상 40.3%가 이어졌다. 이외에도 둔상, 열상, 자상, 관통상 등이 발생하기도 했다.
발생 장소는 도로가 43.4%로 가장 많았고 집이 17%로 그 다음 순이었다. 응급실로 이송된 환자 중 18.4%는 사망해, 5명 중 1명은 사망에 이르는 것으로 나타나기도 했다.
또한 생존자 4명 중 1명은 중등도 이상의 장애가 남기도 했다. 중등도 장애는 제한된 환경에서의 작업, 집안에서 자신을 돌보는 독립적인 생활 등은 가능하다. 하지만 지능과 기업능력이 결핍된다는 점에서 유의해야 한다.
심할 경우 성격이 변하거나 연하곤란, 편마비, 실조증과 같은 장애가 남게 된다. 이보다 심각한 중증 장애가 이어지게 된다면 독립적 기능을 하지 못하고 의존적 생활을 해야 하는 결과를 가지고 오게 된다.
이번 지역사회 기반 중증외상 조사 내용은 향후 환자의 치료 결과를 향상시키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보인다. 그동안 국가나 지역사회 단위로 발생 현황과 역학적 특성을 확인할 수 있는 통계가 부족했기 때문이다.
한편 이번 조사 내용은 치료 결과를 개선하기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계획이다.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