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월이 들어서면서 코로나19가 더욱 생존하기 좋은 환경이 조성되고 있다. 이로 인해 정부의 핀셋 방역 조치를 우려하는 전문가의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지난달 29일 정부는 2단계 + 알파라는 생소한 방역조치를 수도권에 적용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주 평균 400명 이상 신규 환자가 발생하게 되면 거리두기를 2.5단계로 격상해야 한다. 하지만 민생 경제와 국민 피로감을 고려해 이 같은 조치를 취하겠다고 밝혔다. 여기에는 목욕장업, 실내체육시설, 학원 및 교습소 등 특정 고위험 시설에 대해서만 방역조치를 강화하겠다는 것이다 .다만 그 실효성이 얼마나 클지는 미지수다. 비수도권에 대한 1.5단계 거리두기 조치도 효과를 기대키 어려울 것이라는게 전문가의 지적이다. 고대 구로병원 감염내과 김우주 교수는 “수도권에서 시행했던 1.5단계 효과가 유명무실하다”며 “비수도권의 이 같은 조치가 적절한 것인지 의문을 제기한다”고 밝혔다. 현재 신규 확진자의 70%가 수도권에서 발생하고 있다. 최근 2주간의 감염경로를 보면 부산, 충북, 전북, 경남, 등에서도 집단 감염이 발생한다. 사실상 전국적 유행 양상을 보이고 있다. 또한 우리나라는 국토 면적이 넓지 않고 교통이 편리해 전국 어디든 한나절 이동이 가능하다. 하루 생활권인 국가에서 수도권과 비수도권 방역 조치에 차이를 둘 때 발생할 수 있는 문제가 많다. 2단계 + 알파 조치는 확진자 증가세를 다소 누그러뜨릴 수 있으나 확연한 감소로 이어질 수 있다는 근거는 부족하다. 따라서 방역 조치에 대한 원칙이 없고 구멍이 많다는 비판이 이어지고 있다. 경제와 피로감을 고려해야 하지만 그렇다고 방역에 걸린 국민 건강권 보장과 생명에 대해서 생각해야 한다는 게 전문가의 조언이다. 특히나 특정 지역이나 특정 시설의 방역만 강화하는 경우 풍선 효과를 낳을 수 있다. 3차 유행은 젊은 층을 중심으로 확산되고 있는 만큼 유흥 시설 등의 방역을 강화할 경우 다른 지역으로 이동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점을 감안해서 전반적인 조치가 이뤄져야 한다. 연말이 다가오고 있는 만큼 연말 모임 등이 활발하게 이뤄질 가능성이 높다. 이를 근본적으로 차단할 수 있는 방안이 있어야 확진세를 막을 수 있다고 전문가는 밝혔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댓글0
로그인후 이용가능합니다.
0/150
등록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이름 *
비밀번호 *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복구할 수 없습니다을 통해
삭제하시겠습니까?
비밀번호 *
  • 추천순
  • 최신순
  • 과거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