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인구 100명 중 5명 이상이 우울증을 겪고 있다는 연구결과가 나타났다. 선진국 유병률과 비슷한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 그동안 국내 우울증 유병률은 약 3%로 5%가 넘는 선진국보다 낮은 것으로 분석돼 왔다.
서울아산병원 신용욱, 조민우 교수팀은 국민건강보험공단의 진료 빅데이터를 바탕으로 한 표본 코호트 자료를 분석, 국내 우울증 유병률이 선진국과 비슷한 5.3% 수준이라는 점이 나타났다. 우울증을 겪고 있는 사람의 자살 위험이 4배 가량 높아진다는 점을 확인했다.
신용욱, 조민우 교수팀은 2002~2013년까지 전국 각 병원에서 진료를 받은 환자 중 101만여 명의 임상 데이터를 무작위로 추출한 국민건강보험공단 표본 코호트 자료를 활용해 국내 우울증 유병률, 우울증과 자살의 상관관계 등을 분석했다.
그 결과 2002년에는 우울증 환자가 전체 표본 대비 약 2.8%를 기록했다. 하지만 2013년에는 약 5.3%로 2배 가량 늘어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성별로는 남성의 약 3.9%, 여성의 약 6.8%가 우울증을 겪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여성의 우울증 위험이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연령별로는 나이가 많을수록 우울증 환자의 비율이 증가했다. 2030대는 약 2.7%가 우울증이 있었고 4050대는 약 5.7%, 6070대는 약 13.9%, 80대 이상은 무려 18.4%가 우울증을 겪은 것으로 나타났다.
우울증이 있는 집단과 정상 집단으로 나눠 자살률을 분석한 결과에서는 우울증 집단의 자살률이 약 3.8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자살과 관련있는 요인으로 알려진 성별, 나이, 소득수준, 거주 지역에 따른 자살률도 분석했다.
남성이거나 나이가 많을수록 자살 위험이 각 약 2.5배, 1.5배 높은 것으로 드러났다. 소득수준과 거주지역은 크게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조민우 교수는 “전체 표본 집단 대비 우울증으로 새로 진단되는 환자의 비율은 매년 비슷했다”며 “전체 유병률은 계속 늘어나는 것으로 나타나 우울증이 잘 치료되지 않고 만성화되는 경향을 보인 것으로 분석됐다”고 밝혔다.
또한 신용욱 교수는 “2008년 세계 금융 위기를 겪으면서 우울증뿐만 아니라 자살률이 우리나라를 포함해 전 세계적으로 크게 늘었다”며 “최근 코로나19가 장기화되면서 사회 활동이 줄어들다보니 흔히 코로나 블루라고 불리는 우울감을 호소하는 사람이 늘었다”고 말했다.
따라서 불면증이 나타나거나 무기력함이 2주 이상 지속되는 등 우울감으로 인해 일상생활이 힘들다고 느껴지면 전문의를 찾아 최대한 빨리 치료 받아야 한다.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