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에서 코로나19 확진자가 연일 300명 이상 생기면서 사회적 거리두기가 2단계로 격상될 날이 다가오고 있다. 전국 곳곳에서 동시다발적으로 확진자가 발생하고 있는데다가 21ㅣㄹ 시행된 중등교사 임용고시가 시한폭탄이 될 위험도 있다. 사회적 거리두기 단계가 올라가면 학부모는 직장 출근 못지 않게 저연령 자녀의 등교 때문에 골머리를 앓을 수 밖에 없다. 1.5단계에서는 밀집도 2/3를 유지하면 된다. 하지만 2단계부터는 1/3으로 뚝 떨어지게 된다. 다만 고교의 경우 2/3 밀집도를 유지해도 된다. 저연령 아이의 경우 가정에서 머물면 부모 활동에 지장을 받고 아이의 사회성과 협동 등 교육적으로도 지장이 생길 수 있다. 초등학교가 고등학교보다 더 강한 거리두기를 하는 것은 좋은 일일까. 그런 일이 아니기 때문에 정부 지침을 수정할 필요성을 알려주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지금까지 교육 당국은 독감 전파 모델을 기반으로 해 등교 방침을 정했지만 코로나19 전파 유형은 독감과 다르다. 따라서 초등학교 등교는 달라져야 한다는 것이다. 미국 버몬트대학 소아과의 벤자민 교수팀은 중국 상하이에서 학교 개방이 코로나19 전파에 미쳤던 영향을 정리한 데이터를 분석하고 어린이의 낮은 감염율과 전파율을 반영한 결과 저연령 아이의 등교 제한을 줄여야 한다는 결론을 내렸다.  이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BMC 공중보건 최신호에 게재됐고 미국 과학진흥회가 운영하는 논문소개 사이트 유레칼러터에 소개됐다. 연구진은 다양한 연령대의 봉쇄령 전후의 대인 접촉 구조와 전염 정도를 분석해 결과를 내놓았다. 특히 하루 대인 접촉률에 초점을 맞춰서 지역과 학교의 접촉 빈도를 줄이면 코로나19의 전파 위험이 어떻게 감소하는지 측정했다. 연구진의 모델에 따르면 지역사회에서는 접촉빈도를 40% 낮추면 전염병 통제에 도움이 되고 어린이에게는 이보다 낮은 33%만 낮추면 된다는 결론을 내놨다. 연구진은 코로나19가 본격 확산하는 시기에도 이 원칙을 적용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벤자민 리 교수는 “지금까지 세계 각국의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저연령 어린이는 코로나19에 덜 감염될 뿐 아니라 설령 감염된다고 하더라도 또래나 어른을 전염시키는 경우가 매우 드문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고 밝혔다. 이어 “코로나19 팬데믹에서 어린이에게 지역사회나 상급학교보다 낮은 단계의 거리두기를 시행하는 것이 바람직 하다”고 밝혔다. 그러나 고학년 어린이 대상이나 상급학교에 대해서는 보건 측면을 고려해 등교여부를 선택하는 것이 합리적이라고 덧붙였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댓글0
로그인후 이용가능합니다.
0/150
등록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이름 *
비밀번호 *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복구할 수 없습니다을 통해
삭제하시겠습니까?
비밀번호 *
  • 추천순
  • 최신순
  • 과거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