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에 대한 우려가 커지게 되면서 면역력에 관심이 늘어나고 있다. 특히 나이가 많거나 면역 시스템이 약하거나 폐질환과 같은 특정 기저질환이 있는 경우 위험한 상태에 이를 가능성이 더 높은게 사실이다. 그중에서도 고혈압은 코로나19 감염 시 증상을 악화시킬 수 있는 요인 중 하나다. 아일랜드 연구팀에 따르면 고혈압은 코로나19로 인한 사망 위험도 증가시키고 있다. 무엇보다 의료진의 특별한 지시 없이 고혈압 치료를 중단해서는 안된다는 것을 명심해야 한다. 국제학술지 유럽심장저널에 이러한 논문을 발표한 아일랜드 골웨이 국립대학교 연구팀은 코로나19 중증 환자 중 고혈압 환자의 비율이 무증상이나 경증일 때보다 훨씬 높다고 밝혔다. 연구팀은 중국 우한에서 발생한 코로나19 감염자 3000명의 기록을 검토해 이들 중 30%가 고혈압이 있었다는 점을 발견했다. 또한 고혈압이 있는 코로나19 환자 중 4%가 사망에 이르게 됐다. 이는 정상혈압을 가진 감염자 중 사망자가 1.1%에 그친 것과 비교해보면 훨씬 높은 비율이다. 연구팀은 고혈압약이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해 또 다른 2300명이 관여한 연구 세 편에 대한 데이터도 모았다. 베타 차단제, 칼슘 채널 차단제, 이뇨제와 같은 약으로 고혈압 치료를 받고 있는 환자보다 RAAS 억제제로 치료를 받는 고혈압 환자의 코로나19 사망 위험이 더 낮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고혈압 치료에 쓰이는 RAAS 억제제가 코로나19 사망 위험을 높인다는 가설이 있었지만 그렇지 않음을 확인한 것이다. 국내에서도 중앙대학교 연구팀이 RAAS 억제제가 코로나19 사망률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는 연구 결과를 보고 한 바 있다. 아일랜드 연구팀은 오히려 약물 치료가 고혈압 환자의 코로나19로 인한 사망 가능성을 낮춰줄 것으로 분석했다. 하루 코로나19 신규 확진자가 15만 명을 넘는 미국은 고혈압 환자가 많은 국가 중 하나다. 미국 심장학회의 최근 통계에 따르면 미국에는 대략 1억 명의 고혈압 환자가 있을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이는 미국 인구의 3분의 1에 해당하는 수치다. 이로 인해 고혈압과 코로나19 사이의 상관성을 분석하는 연구는 꾸준히 진행되고 있다. 고혈압약이 코로나19 사망 위험을 높인다는 소문도 있지만 연구자는 그렇지 않다는 연구결과를 꾸준히 도출하고 있는 중이다. 따라서 의료진의 특별한 지시가 없는 이상 고혈압 환자는 임의로 약물 복용을 중단하는 등 치료를 멈춰서는 안 된다는 게 전문가의 조언이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댓글0
로그인후 이용가능합니다.
0/150
등록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이름 *
비밀번호 *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복구할 수 없습니다을 통해
삭제하시겠습니까?
비밀번호 *
  • 추천순
  • 최신순
  • 과거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