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 유행이 장기화되면서 노인의 사회활동이 줄어들고 있다. 이 가운데 노인의 사회활동 참여가 우울증상의 위험을 낮춘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고려대학교 안암병원 정신건강의학과 한규만 교수팀은 60세 이상 국내 노인 4751명을 대상으로 사회활동 참여와 우울증상 유병률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연구를 통해 참여하는 사회활동의 종류가 많고 참여 빈도가 높을수록 우울증의 위험이 낮아진다는 것을 규명하기도 했다.
한규만 교수팀은 이번 연구에서 국민노후보장패널조사의 2017년과 2018년 자료를 분석했다. 노인의 친목모임, 동호회, 동창회, 스포츠클럽 등의 모임활동이나 봉사활동, 정기적 기부, 경제활동과 같은 사회활동 참여여부는 물론 한국판 CES-D 우울증상 척도를 통해 이를 종합적으로 평가했다.
연구결과 노인에서 사회활동 참여가 우울증상의 위험을 뚜렷하게 낮춘다는 사실이 나타났다. 한 가지 이상의 사회활동에 참여한 사람은 사회활동에 참여 안하는 사람에 비해 우울증의 위험이 0.6배로 내려간다.
모임 활동에 참여하는 경우 0.6배, 봉사활동에 참여하는 경우 0.42배, 정기적 기부를 하는 사람의 경우 0.56배로 우울증의 위험을 낮출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세 가지 이상 사회활동에 참여하는 사람은 약0.28배로 낮아지고 2주에 한 번 이상 봉사활동을 하는 경우 0.19배까지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대해 한규만 교수는 “노인에서 사회활동 참여가 타인으로부터 받는 정서적, 사회적 지지를 증가시킴으로써 우울증상의 위험을 낮춘다는 점을 발견한 연구”라며 “코로나 사태로 인해 대면접촉을 통한 사회활동이 어려워질 수 있다는 점을 고려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따라서 가까운 가족이나 친구들과 자주 전화 연락을 하며 서로의 안부를 묻는 것만으로도 정신 건강에 도움이 될 수 있다”고 덧붙였다.
한편 코로나 우울증으로 인한 문제가 심각해지고 있다. 20대 여성이 두드러지게 우울증으로 인한 자살 사건이 늘어나게 되면서 이에 대한 대비가 중요해졌다. 우리나라의 경우 연간 증가율이 전 세계 3위에 해당하는 만큼 철저한 치료가 필요하다.
따라서 주저하지 말고 빠르게 치료를 시작하는 것은 물론 적절한 병행이 이뤄지는 것이 좋다고 강조했다.
무엇보다 우울증이 있는 경우 스스로 해결할 수 있는 문제라고 생각하거나 자연적으로 좋아질 것으로 생각해서는 곤란하다. 치료가 필요한 질병이라는 인식을 가지고 지체없이 곧바로 치료를 시작해야 완전히 회복할 수 있다.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