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스크를 착용하면 산소 공급이 줄어든다는 주장이 SNS상에 퍼지고 있다. 특히 이산화탄소 중독을 유발하면서 면역체계를 약화시킨다는 주장이다.
세계보건기구와 미국폐협회를 포함한 의료 당국은 이러한 주장이 틀렸다는 성명을 발표했다. 하지만 마스크 착용이 건강에 좋지 않다는 식의 주장이 여전히 나오고 있다.
이와 관련해 이러한 주장이 틀렸다는 것을 입증하는 연구 결과가 또 한 가지 나왔다. 캐나다 맥마스터대학교 연구팀은 성인 25명을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한 바 있다. 대상자의 평균 연령은 76.5세로 기록됐다.
연구팀은 대상자들에게 3겹으로 만들어진 비 의료용 마스크를 쓰게 하기도 했다. 그리고 휴대용 산소포화도 측정기를 차게 해 마스크를 쓰기 전과 후의 산소 농도를 조사했다.
그 결과 전반적으로 혈액 산소 포화도가 감소하는 일은 전혀 발생하지 않았다. 평균적으로 산소 포화도는 참가자가 마스크를 착용하기 전에 96.1%였다. 또한 마스크를 착용한 후에는 96.5%와 96.3%로 약간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미 감염병 전문가인 애런 클래트 박사는 “이번 연구는 이미 알고 있던 것을 뒷받침해 준다”며 “마스크를 썼다고 산소가 줄어드는 게 아니다”고 말했다. 그는 “마스크는 자동차의 안전벨트다”며 “마스크가 불편할 수 있지만 당신을 보호해준다는 것을 명심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연구팀의 노엘 찬 박사는 “이번 연구는 마스크 착용으로 인한 산소 수치 감소에 더 취약한 노인에게 초점을 맞췄다’며 “하지만 아무런 문제도 일어나지 않았다”고 말했다.
한편 코로나19가 장기화 되면서 만성폐쇄성폐질환 환자가 마스크를 착용해도 되는지에 대한 논란도 일어나고 있다.
이에 대해 한양대병원 호흡기알레르기내과는 조금만 움직여도 숨이 차는 COPD나 심부전 질환이 있는 성인 환자를 대상으로 마스크 착용의 안전성을 규명하기 위해 임상시험을 진행하고 있다.
이 연구는 걷기와 달리기를 전후한 환자의 심장박동수나 혈압, 심전도 등을 마스크 착용 전후로 어떤 차이가 있는지 비교하고 있다.
이와 비슷한 연구는 미 마이애미대 의대에서 폐에 문제가 없는 의사와 COPD 퇴역군인 각 15명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 이미 이뤄진 바 있다. 당시에는 마스크 착용 여부가 유의미한 변화를 주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이번 연구에서도 유의미한 변화는 없을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